룰루레몬(LULU.N) 가이던스 하향, 수요 약화와 관세 영향 반영

김민영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8 07:19:50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룰루레몬(LULU.N)의 2분기 이익이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매출액은 소폭 하회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룰루레몬의 2분기 매출액은 25.2억 달러로 전년 대비 6.5% 증가하며 컨센서스와 가이던스를 약 0.5%로 소폭 하회했다.


다만 2분기 주당순이익(EPS)은 3.1달러를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5%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EPS 상회 요인은 미주 외 글로벌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과 공급망 재조정 등 일부 마진 방어 전략이 유효했다는 평가다.

 

룰루레몬은 미주 지역 내 약해진 수요와 관세 영향을 반영해 2025년 가이던스를 하향했다.

 

2025년 매출액 성장률 가이던스를 기존 5~7%에서 2~4%로, 연간 EPS 기존 14.58달러~ 14.78달러에서 12.77달러~12.97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상반기 중 주당순이익이익(EPS) 5.7달러를 감안 시 하반기 EPS는 최대 7.3달러로 작년 하반기 대비 역성장을 의미한다는 분석이다.

 

이혜인 삼성증권 연구원은 "가이던스 하향의 주요 요인은 미주 지역의 동일매장 매출 감소로 해당 지역 내 약해진 수요와 소액 면세 제도 폐지(9월부터 800달러 이하 수입 상품 면세 제도 폐지)와 관세로 인한 약 2억 4천만 달러의 매출총이익 감소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룰루레몬 종목진단 (출처=초이스스탁)

 

미주 지역 내 성장 둔화로 룰루레몬의 주가는 연초 이후 46% 하락했다.

 

현재 2026년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13.7배에 거래 중이다. 이는 글로벌 평균 PER 26.6배 대비 낮은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은 덜어냈다는 판단이다. 

 

이혜인 연구원은 "다만, 디스카운트의 주요 원인은 낮은 성장률로, 시장은 알로, 뷰오리 등 신흥 애슬레저 업체들 등장에 따른 경쟁 심화, 룰루레몬 매출의 약 75%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 내 낮은 성장률, 그리고 관세 및 할인 판매로 인한 마진 압박 등 우려가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따라서 향후 밸류에이션 회복을 위해서는 실적을 통해 중국 내 매출 성장이 미국 성장 둔화를 상쇄하고, 신제품 혁신에 기반한 미주 지역 내 성장률 반등 등이 확인되어야 할 것이란 조언이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주요기사

카네마츠(8020 JP)·브라더공업, 세계 최초 기술로 로봇·우주산업 혁신 기대2025.09.08
후지레비오(4544 JP), 혈액 알츠하이머 진단약 일본 승인 신청2025.09.08
이시바 총리, 자민당 총재직 사임 표명2025.09.08
오바야시구미(1802 JP), 40년 수명 콘크리트 패널 도로 기술 개발2025.09.08
암홀딩스(ARM.N) AI 혁신 지배력 내년부터 확대 전망2025.09.08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