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GDS홀딩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중국 1위 데이터센터 기업인 GDS홀딩스(GDS.N)가 중국 AI 투자 확대에 따른 데이터센터 수혜가 전망된다.
GDS홀딩스는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을 주요 고객으로 삼고 있으며, 베이징, 상하이, 광동 등 중국 주요 지역 내 95 개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해외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와 일본 등 지역에도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 클라우드, 대형 플랫폼, 금융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 1분기 기준 알리바바, 텐센트 매출 비중은 40% 수준으로 추정된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중국 플랫폼 기업의 AI 관련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알리바바는 향후 3년간 3800억 위안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지난 10년 누적 투자금액과 유사한 수준이다.
텐센트도 2024년 768억 위안을 투자했으며, 2025년 전체 매출의 low-teens 수준의 CAPEX규모를 유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바이트댄스는 2024년 800억 위안을 투자했으며, 2025년 1600억 위안을 투자할 것이라고 보도된 바 있다.
박주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그 외에도 다수 기업이 글로벌 AI 경쟁 시대에서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국 주요 빅테크 기업의 CAPEX 는 2025년 전년 대비 25% 수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GDS홀딩스 종목진단 (출처=초이스스탁) |
GDS홀딩스의 주가는 연초 고점 대비 44% 조정 받았다.
최근 중화권 증시는 헬스케어, 신흥소비 등 업종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주가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AI 등 IT 업종은 상대적으로 소외 받고 있는 상황이다.
박주영 연구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AI 시장의 성장 기대감은 변함이 없으며, 중국 플랫폼 기업의 투자 확대에 따른 데이터센터 수혜는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하반기 구체적인 주가 촉매제를 예단할 수 없으나 중국 기업의 기술 혁신과 정부의 정책 지원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2026년부터는 15차 5개 년 계획이 시작되며, 2025년 10월 전후 관련 내용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연구원은 "3분기 후반 AI 등 중국 주요 육성 산업을 중심으로 정책 기대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GDS홀딩스에 대한 관심을 점진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