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동반 감소…3개월 만에 '트리플 약세'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5-05-30 08:53:32
  • -
  • +
  • 인쇄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부산항.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미국의 관세 정책 충격이 국내 제조업에 본격적인 타격을 주면서 지난달 산업생산과 소비·투자가 석 달 만에 일제히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5를 기록해 전달보다 0.8% 떨어졌다.

2020년을 100으로 하는 이 지수는 올해 1월 1.6% 하락한 뒤 2월(0.7%)과 3월(0.9%) 두 달간 연속 상승했으나 다시 감소 흐름을 보였다.

생산 감소는 광공업을 비롯해 공공행정, 서비스업, 건설업 등 전 부문에서 동시에 나타났다.

특히 광공업 생산은 전달보다 0.9% 줄었는데, 이 중 제조업에서 자동차 부문이 4.2%, 반도체가 2.9% 각각 감소하며 전체 제조업 생산을 0.9% 끌어내렸다.

내수 부진도 뚜렷했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도소매업 등에서 증가했지만 전문·과학·기술업과 금융·보험업 등의 위축으로 전달 대비 0.1% 하락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전 품목에서 판매 실적이 부진하며 전달보다 0.9% 감소했다.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는 2.0%, 내구재는 1.4%, 비내구재는 0.3% 각각 줄어 3월(-1.0%)에 이어 두 달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투자 지표도 마찬가지로 위축됐다. 설비투자는 전달 대비 0.4% 감소해 두 달 연속 하락했고, 건설기성(불변)도 0.7% 줄어 역시 2개월째 감소 흐름을 보였다.

다만 경기 선행 지표들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올랐고, 미래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3포인트 상승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10·15 부동산 대책 부정 평가가 긍정보다 많아"2025.10.24
농협은행 금융사고 절반은 '내부 소행'..."기강해이 심각"2025.10.24
NH농협은행,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 도입2025.10.24
부산은행 창립 58주년 "지역 상생 금융 모델 확대"2025.10.24
미래에셋그룹, ‘미래에셋3.0’ 시대 선포...글로벌·AI·IB 강화 조직개편2025.10.2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