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나들이] '골디락스'가 뭘까요? : 경제용어사전|알파경제TV

영상제작국 / 기사승인 : 2024-10-04 13:08:51
  • -
  • +
  • 인쇄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하나를 알아도 깊게 알고 싶은 여러분의 지식 탐구를 향한 목마름을 채워 줄 경제 전문가 김종효 이사의 경제 용어 풀이!

짧게! 빠르게! 간단하게!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제3기 알파걸, 김미정 아나운서와 함께 합니다.


골디락스: 경제의 황금기를 알리는 신호
-균형 잡힌 성장과 안정의 완벽한 조화, 그 뒤에 숨겨진 이야기

## 골디락스의 정의와 의미

· 골디락스(Goldilocks)는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실업률이 이상적인 균형을 이루는 상황을 말합니다.

· 이 용어는 영국 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에서 유래했습니다. 이야기 속 골디락스가 "딱 알맞은" 상태를 찾는 것처럼, 경제도 과열되거나 침체되지 않은 "딱 좋은" 상태를 추구합니다.

· 골디락스 경제의 반대는 "과열 경제"나 "침체 경제"입니다. 과열 경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자산 버블을 동반할 수 있고, 침체 경제는 높은 실업률과 저성장을 특징으로 합니다. 골디락스는 이 두 극단 사이의 이상적인 균형점을 나타냅니다.

## 골디락스의 역사적 맥락

· 골디락스라는 경제 용어는 1992년 살로몬 브라더스의 이코노미스트 엘런 블라인더가 처음 사용했습니다. 그는 당시 미국 경제가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상태라고 묘사했습니다.

· 1990년대 후반 미국 경제는 골디락스의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졌습니다. 이 시기 미국은 안정적인 경제 성장, 낮은 인플레이션, 낮은 실업률을 동시에 경험했습니다.

· 21세기에 들어서도 골디락스 경제는 여러 국가에서 목표로 삼는 이상적인 경제 상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특히 2010년대 중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회복기에 다시 한 번 주목받았습니다.

## 골디락스와 관련된 흥미로운 사건

·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직전, 많은 경제학자들이 미국 경제가 골디락스 상태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곧 역사상 최악의 금융위기로 이어졌습니다. 이 사건은 골디락스 상태의 판단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 2017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는 미국 주식시장이 1929년 대공황 이후 가장 과대평가된 상태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많은 이들이 골디락스 경제라고 믿던 시기에 나온 경고로, 경제 상황 판단의 복잡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웠습니다.

## 골디락스 경제의 미래 전망

· 미래 경제에서 골디락스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후변화, 기술 혁신, 인구구조 변화 등 복잡한 요인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중앙은행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금리 조절과 같은 통화정책을 통해 경제를 골디락스 상태로 유도하려는 노력이 계속될 것입니다.

· 그러나 일각에서는 골디락스 경제가 지속 가능한 목표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사회적 형평성 등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새로운 경제 목표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주요기사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해킹 사고 사과…"피해 전액 보상 약속" : 알파경제TV2025.09.06
위기의 골프존, 쏟아지는 매물…"8일부터 양수도 플랫폼 등록 의무화 갑질(?)" : 알파경제TV2025.09.06
롯데카드, 해킹 사고 17일 뒤 금감원 늑장 신고…"카드정보 유출 추정" : 알파경제TV2025.09.04
허윤홍 GS건설 대표 “청계리버뷰자이 근로자 추락사…머리 숙여 사죄” : 알파경제TV2025.09.04
빗썸, 또다시 전산 장애 발생…반복되는 사고에 투자자 불만 고조 : 알파경제TV2025.09.04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