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웨이 제36기 정기주주총회. (사진=코웨이)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가 제안한 집중투표제 도입이 코웨이 정기주주총회에서 무산됐다. 총 46.5%의 찬성을 얻는 데 그쳐 가결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31일 충남 공주 코웨이 본점에서 열린 제3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중 얼라인파트너스가 주주제안한 '집중투표제 도입' 의안은 출석 의결권 대비 46.5%의 찬성표를 얻어 부결됐다.
주총 의장을 맡은 서장원 코웨이 대표이사는 "의결권 있는 주식 수 5278만7416주, 출석한 의결권 있는 주식 수 4380만7315주 중 찬성한 주식 수는 총 2038만2631주"라며 부결을 선포했다.
집중투표제는 복수 이사를 선임할 때 선임 이사 수만큼의 의결권을 부여하고 이를 한 명 또는 여러 명에게 집중해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소수주주가 추천하는 후보의 선임 가능성을 높여주는 소수주주 친화적 제도다.
상법상 집중투표에 관한 특례 조항에 따라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회사의 집중투표제 도입 결의 시 모든 주주는 의결권을 3%까지만 행사할 수 있어, 코웨이 최대주주인 넷마블은 지분 25.1%를 보유하고 있지만 해당 안건에 한해 3%를 초과한 의결권 행사가 제한됐다.
코웨이 이사회가 제안한 '집중투표제 도입 시 사내이사·사외이사 구분 적용' 안건은 집중투표제 도입이 부결되며 자동 폐기됐다. 이 안건은 얼라인의 집중투표제를 통한 이사회 진입을 막기 위한 회사 측 대응책으로 평가됐다.
앞서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 ISS와 글래스루이스는 집중투표제에 관해 엇갈린 의견을 냈다. ISS는 반대를, 글래스루이스는 찬성을 권고해 61%에 달하는 코웨이 외국인 주주들의 표심은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코웨이는 이번 주주총회에서 중장기 주주환원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자사주 약 65만주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자사주 매입·소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총주주환원율을 20%에서 40%로 상향하고, 다양한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창환 얼라인 대표는 "46.5%의 찬성률을 통해 코웨이 거버넌스 개선을 염원하는 많은 주주들의 지지를 확인할 수 있었기에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코웨이 주가는 얼라인과 코웨이 경영진의 첫 번째 논의 이후 25.4% 상승해 동기간 코스피 상승률인 5.3%를 크게 상회했다"고 설명했다.
얼라인은 코웨이가 지난달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목표자본구조와 주주환원 정책에 개선 여지가 있다며 경영진에 지속적으로 요구를 전달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코웨이의 주주가치 제고가 지속가능하려면 최대주주 넷마블로부터의 이사회 독립성 제고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코웨이 측은 집중투표제 도입이 부결된 것에 대해 "주주들이 현재 이사회 운영 방식이 독립성과 투명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어 지속적인 기업 성장과 주주가치 강화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재무제표 승인과 사업목적 추가·배당기준일 변경을 위한 정관변경, 사외이사 3인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2인 선임, 이사보수한도 승인, 자사주 소각을 위한 자본금 감소 등의 의안이 원안대로 가결됐다.
코웨이는 김정호 고려대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교수와 김태홍 그로쓰힐자산운용 대표이사를 신규 사외이사로 선임하고 이길연 변호사를 재선임했다. 김태홍 사외이사와 이길연 사외이사는 감사위원회 위원으로도 선임됐다.
서장원 대표는 "혁신 제품 개발과 신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한 결과 아이콘 시리즈, 비렉스 매트리스·안마의자 등이 국내 및 글로벌 전반에서 높은 판매 성장을 이끌어내며 안정적인 경영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올해도 핵심사업 고도화를 토대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동시에 주주환원 확대, 거버넌스 선진화를 실현하며 기업가치 강화에 힘쓰고 주주들의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