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잇따른 서비스 장애, 정부 긴급 점검 착수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4 15:06:17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카카오톡이 최근 5개월 동안 다섯 차례나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정부가 이번에도 긴급 현장 점검에 나섰다.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카카오 본사를 방문해 통신재난관리계획의 이행 상황을 들여다봤다.

 

과기정통부는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 분야의 전문가들을 동원해 최근 발생한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의 원인 분석과 함께 복구 상황 및 재발 방지 대책을 면밀히 검토했다. 

 

또한 현장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즉각적인 시정 조치를 요구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번 점검은 당일 일정으로 계획됐으나, 현장에서 상당수의 미비점이 확인될 경우 추가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해졌다.

 

해당 점검 결과는 약 2주 후에 발표될 예정이다.

 

올해 들어 세 번째로 진행된 이번 긴급 점검은 앞선 두 차례의 점검에 이어서 진행됐다.

 

과거 카카오톡은 5월 한 주간 세 차례에 걸쳐 서비스 중단 사태를 겪었고, 과기정통부는 즉각적으로 현장에서 문제를 파악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 바 있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실로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당시 점검 결과 여러 기술적 오류가 장애 원인으로 지목됐다.

 

카카오 측은 인터넷데이터센터(IDC) 트래픽을 우회하고 유휴 서버 가동 등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서비스를 정상화시켰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7월과 이달 초 잇따라 발생한 추가적인 서비스 중단 사태로 인해, 이미 시정 조치된 사항들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시정 명령의 충실한 이행 여부를 면박하는 동시에 위반 사항 발생 시 추가적인 조치들을 강구할 것임을 예고했다. 

 

더욱이 방송 통신 발전법 제40조의4에 따라 시정명령 미이행 시 매출액 최대 3%까지 과징금 부과 가능성도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김장겸 의원은 “1주일 만에 다시 문제가 발생한 것을 보면, 카카오의 시정 조치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과기정통부는 철저한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불편을 야기하는 사건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강력한 후속조치를 촉구했다.

 

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

주요기사

하이브 방시혁, 인도에 5번째 해외법인 설립…K팝 수출 가속화2025.09.09
SK 자회사 호실적에 하반기 실적 모멘텀 가능, 목표가↑2025.09.09
법원 "신라면세점 임대료 25% 인하해야" 강제 조정2025.09.09
美 치폴레, 한국 시장 상륙…SPC그룹, 내년 상반기 1호점 개장2025.09.09
네이버, 컬리·우버 등과 손잡고 커머스 생태계 확장…개인화 추천 고도화 높인다2025.09.09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