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하나를 알아도 깊게 알고 싶은 여러분의 지식 탐구를 향한 목마름을 채워 줄 경제 전문가 김종효 이사의 경제 용어 풀이!
짧게! 빠르게! 간단하게!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제3기 알파걸, 김미정 아나운서와 함께 합니다.
국제회계기준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1. 용어 풀이 및 상세 설명
**국제회계기준 (IFRS)**는 전 세계 기업들이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국제적인 회계 규칙**입니다. 쉽게 말해, 다양한 국가의 기업들이 같은 잣대로 회계 처리를 하도록 만든 일종의 '회계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반대되는 용어:** 국내 회계 기준 (예: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K-IFRS)
* **차이점:** 국제회계기준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인 반면, 국내 회계 기준은 각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정된 기준입니다. K-IFRS의 경우, 국제회계기준을 한국 상황에 맞춰 개정한 것입니다.
2. 역사
국제회계기준의 역사는 **국가 간 경제 교류 증가**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각국마다 다른 회계 기준을 사용하면 투자자들이 기업의 재무 정보를 비교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설립되었고, 1973년부터 국제회계기준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3. 흥미로운 사건
* **엔론 사태:** 2001년 미국 에너지 기업 엔론의 회계 부정 사건은 국제회계기준 도입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켰습니다. 엔론은 회계 기준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부실한 재무 상태를 감추었고, 이는 전 세계 금융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 **유럽 연합의 IFRS 도입:** 유럽 연합은 2005년부터 상장 기업에 IFRS 도입을 의무화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IFRS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4. 앞으로의 전망
국제회계기준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지속가능성 등 새로운 경제 환경 변화에 맞춰 회계 기준이 개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신흥국의 회계 시장 성장과 함께 IFRS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