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태광그룹이 최근 태광산업의 자사주 기반 교환사채(EB) 발행을 결정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태광산업은 지난 6월 27일 장 마감 직후, 보유 중인 자사주 전량(27만1769주, 지분율 24.41%)을 기초로 3186억 원 규모의 EB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사전 이사회 논의가 없었고, 최초 공시에는 EB 인수자조차 명시되지 않아 절차적 문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장 전문가는 "태광산업의 이번 EB 발행은 투명성과 주주 가치 존중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EB 발행 계획 발표 직후, 태광그룹은 1조 5000억 원 규모의 신사업 투자 계획도 발표했다.
석유화학·섬유 업황 악화로 사업 구조 재편이 불가피하다는 판단하에 화장품, 에너지, 부동산 개발 등 새로운 시장 진출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투자 계획과 전략이 부재한 발표에 시장은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소액주주들은 "이럴 거면 상장을 왜 했느냐"며 불만을 터뜨렸고, EB 발행 소식에 태광산업 주가는 11% 넘게 급락하며 '황제주' 자리에서 내려왔다.
금융감독원 또한 태광산업의 교환사채 발행 과정에 대해 면밀히 검토에 나섰다.
자사주 처분 대상과 자금 사용 목적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정정 공시 명령을 내린 것이다.
이에 태광산업은 뒤늦게 EB 발행 대상이 한국투자증권임을 밝히고, 조달 자금 중 2000억 원을 뷰티 신사업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태광그룹 산하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티투프라이빗에쿼티(티투PE)가 유안타인베스트먼트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애경산업 인수에 나선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인수 주체가 태광산업이 아닌 티투PE라는 점은 자사주 EB 발행을 둘러싼 논란과 당국의 제재, 주주 반발 등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2대 주주인 트러스톤자산운용은 태광산업이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필요한 EB 발행으로 주주 가치를 훼손했다며, 지난 6월 30일 이사들의 위법 행위 중지를 요구하는 가처분을 서울중앙지법에 제출했다.
트러스톤 측은 태광산업이 1조 4000억 원 규모의 현금과 SK브로드밴드 지분 매각 대금 약 9000억 원을 확보하고 있어 외부 자금 조달이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