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국내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2년 10개월째 부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며 사상 최장기 부진을 기록했다.
특히 탄핵 정국과 글로벌 경기 침체가 겹치면서 월간 경기 전망치는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2020년 초 이후 최대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에서 내년 1월 전망치가 84.6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전월(97.3) 대비 12.7포인트 급락한 수치다.
BSI는 2022년 4월 99.1을 기록한 이후 34개월 연속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다.
이는 1975년 1월 한경협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시절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긴 연속 하락이다.
종전 최장 기록은 2018년 6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이어진 33개월이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전망이 어두웠다.
제조업 BSI는 84.2로, 지난 3월 100.5를 기록한 이후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10개 제조업 세부 업종 중 전자 및 통신장비(105.3)만이 유일하게 긍정적 전망을 보였다.
비제조업 BSI도 84.9를 기록했다. 지난달 105.1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한 달 만에 20.2포인트나 급감했다.
7개 비제조업 세부 업종 중에서는 운수 및 창고(103.8) 부문만 호조를 전망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내수(88.6), 투자(89.4), 고용(90.0), 수출(90.2), 자금사정(92.1), 채산성(94.0), 재고(104.9) 등 전 분야에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내수는 2020년 9월, 수출은 같은 해 10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