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출 부실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1년 간 국내 5대 시중은행의 무수익여신 잔액이 20%에 육박하는 비율로 증가했다. 이런 무수익여신은 상환능력이 결여된 채무로 흔히 ‘깡통대출’이라 칭해진다.
이는 경기 침체와 지속적인 고금리 환경 속에서 자영업과 중소기업의 금융 부담이 가중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특히 정치적 혼란 상황까지 겹쳐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당분간 부실 대출 문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결국 전체 경제에도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9월 말 기준, 은행별로 보면 농협은행의 무수익여신 증가율이 가장 높아 1년 사이 62.3%나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우리은행은 같은 기간 내에서 무수익여신 잔액이 줄어드는 등 은행별로 차이를 보였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고금리 지속과 경기 변동성 확대를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은행들은 대출 관리 및 모니터링 체계 강화, 채무조정 프로그램 활용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위기 관리에 나서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모니터링을 강화해 대출 부실화 방지에 힘쓰고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새출발기금 등 은행권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 발생한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그 여파가 내수 시장과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에게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환율 급등에 따라 생활물가 상승과 내수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