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지수형 기후 보험 도입 필요성 제기

김혜실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1 11:02:22
  • -
  • +
  • 인쇄
보험연구원 CI. (사진=보험연구원)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폭염 시 작업이 중단되는 야외근로자나 매출이 감소하는 소상공인 등 기후 취약계층을 위한 보험 상품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직접적인 인과관계 확인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지수형 보험의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1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권순일·한진현 연구위원은 ‘폭염재해와 기후 취약계층’ 리포트에서 “극한 기상현상에 따른 폭염 재해는 신체 상해와 가축·수산물 폐사 등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야외 작업중단에 따른 근로소득 상실과 같은 간접손해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근로소득 상실이나 비용 상승과 같은 간접손해의 경우 폭염 발생과 손해 간 인과관계 규명이 어렵다는 한계로 인해 관련 보험상품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험상품 도입을 포함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우선 배달플랫폼 종사자, 폭염 발생 시 매출이 감소하는 소상공인, 독거노인 등이 기후위기 취약계층으로 거론됐다. 

또 기후 보험을 위한 지수형 보험은 손해나 피해 금액을 일일이 산정해 보상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전에 정한 지수(Index)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약정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구조의 상품을 의미한다. 

환경부가 2026년 도입을 목표로 개발 중인 지수형 기후 보험은 건설 현장 일용직 근로자가 이상기후로 인해 야외 작업이 중지된 경우 소득 상실 금액을 보상하는 방식이다.

연구원은 “일본의 경우, 야외활동 시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는 소액단기보험 상품을 판매하고, 인도는 폭염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을 보장하는 지수형 보험 상품이 개발·판매되고 있어 해외 사례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월급 300만원으로 2년만에 1억 만들기. 어떻게 하면 될까? [알쓸차근: 월급탈출 인생수정]2025.09.05
네이버·토스·카카오에서 실손 보험보험 청구 한번에 가능해진다2025.09.05
[마감] 코스피, 美고용지표 경계감 속 3200대 제자리걸음2025.09.05
서울 집값 소폭 상승세 지속..공급대책 발표 주시2025.09.05
서울 민간아파트 ㎡당 분양가 2천만 원 첫 돌파..'국평 17억'2025.09.0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