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AAPL.N) 가격 인상 최소화에도 순이익 예상치 하회 전망

김민영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7 11:09:24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애플(AAPL.N) 상호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 최소화를 가정해도 순이익이 컨세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협상 시나리오에서 애플은 2025년 2월에 미국 내 투자를 약속한 것을 기반으로 관세율 완화나 면제를 협상할 가능성이 있다.

 

보수적으로 관세율을 20%로 낮춰서 가격 인상을 최소화(+5%)해 수요를 유지하게 되면 연간 순이익은 930억 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보복 시나리오는 미국이 대중국 관세 34% 유지하고, 중국이 애플 제품에 30%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인데, 3분기부터 관세 충격과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감소로 실적이 감소하는 케이스다. 

 

보복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2025년 하반기 실적이 크게 악화될 수 있지만, 발생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는 판단이다.

임지용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애플이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를 가격에 즉시 반영할 가능성은 낮다"며 "보통 3~6개월분 부품과 재고를 보유하고 기존 재고로 생산을 유지하며 비용 증가를 흡수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공급업체와 장기 계약을 맺고 있기에, 가격 변동은 분기/반기 단위로 반영된다. 

 

애플의 신제품 발표 주기인 9월 iPhone 17 가격 책정에 영향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과거 트럼프 1기에도 2018년 9월 관세 발표 후 2019년 1월까지 가격을  유지하며 공급망 조정으로 대응한 바 있다. 

 

애플 종목진단 (출처=초이스스탁)

 

4월 2일 관세 적용은 애플(9월 결산) 회계연도 기준 2분기(1~3월) 실적에 직접 반영되지 않고 3분기(4~6월)에는 가격 인상은 반영되지 않고 비용만 증가하므로 수익성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임지용 연구원은 "4분기(7~9월) 실적부터 가격 인상과 수요 감소가 본격화되며 연간 실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며 "결론적으로는 협상 시나리오에서 완전 면제를 제외할 경우는 FY2025 순이익 컨센서스 1000억 달러 대비 -7%(협상), -10%(기본), -29%(보복)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日은행주 일제히 강세…미쓰이 스미토모FG(8316 JP)·미즈호FG(8411 JP) 최고가 경신2025.11.13
아식스(7936 JP), 순이익 41% 급증…‘오니츠카 타이거’ 판매 호조에 자사주 매입도 발표2025.11.13
도요타(7203 JP), 미국에 1.5조엔 투자…향후 5년간 현지 생산 대폭 확대2025.11.13
가와사키 중공업(7012 JP), 대규모 CO2 회수 실증 착수2025.11.13
JP모건(JPM.N), 'JPM 코인' 도입…디지털 예금 시대 개막2025.11.13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