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 못갚아"...올해 부동산 경매, 11년 만에 최대치 도달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6 11:27:43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올해 대출금 상환 실패로 인한 부동산 경매 건수가 13만 건에 육박하며, 지난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6일 법원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부동산(토지, 건물, 집합건물)의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이 총 12만 9703건에 달했다. 

 

아직 12월 집계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올해의 누적 경매 건수는 지난 2013년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 중이다.

 

임의경매란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부동산을 담보로 한 대출금의 원금 및 이자 상환 실패 시 채권자가 대출금 회수 목적으로 경매 절차를 밟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복잡한 법적 절차 없이 바로 법원에 신청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임의경매 건수가 급증한 주된 요인으로는 고금리 환경과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꼽힌다.

 

특히 지난해 임의경매 건수는 전년 대비 약 61% 증가한 10만 5614건을 기록하며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그 추세는 올해도 계속되어 현재까지 작년 동기 대비 약 35% 많은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결과적으로 지난 두 해 동안 임의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은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주목할 점은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 관련 임의경매 증가세가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올해 들어서만 집합건물 관련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약 48% 증가한 5만 1853건에 달한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 집값 상승기에 '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 후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하는 사례들이 속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각 지역별로 분석해보면, 경기 지역에서 가장 많은 임의경매 건수(1만 6094건)를 기록해 전체 중 약 33%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작년 같은 기간 대비 약 73%나 급증한 수치다. 

 

그 다음으로는 부산(6428건), 서울(5466건), 인천(3820건) 순으로 집합건물 관련 경매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

주요기사

미래에셋증권, 미국주식 데이마켓 서비스 재개..."23시간 거래"2025.10.28
신한투자증권, 비대면 맞춤형 전문상담 체계 구축2025.10.28
합동대응단, '미공개 정보이용' NH투자증권 압수수색2025.10.28
키움증권, '앱테크' 포인트 서비스 가입자 30만명 돌파2025.10.28
Sh수협은행, '생산적 금융 TF' 출범2025.10.28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