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 운용자산 450조 돌파...3년 만에 200조 증가

김혜실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9 11:35:02
  • -
  • +
  • 인쇄
2025년 6월 영국 런던거래소에 게재된 ‘TIGER 토탈월드스탁액티브 ETF’ 신규 출시 기념 사진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총 운용자산이 450조원을 돌파했다. 

 

29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03년 홍콩법인을 설립하며 국내 운용사 최초로 해외 시장에 진출한 후, 현재 미국·캐나다·인도·일본·호주 등 16개 지역에서 총 456조원을 운용 중이라고 밝혔다. 

 

2022년 말 250조원이었던 운용자산은 2023년 말 305조원, 2024년 말 378조원에 이르며 약 3년만에 200조원이 증가했다. 지속적으로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글로벌 자산운용사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총 운용자산의 약 45%는 해외에서 운용되고 있다. 이는 혁신을 기반으로 ‘킬러 프로덕트(Killer Product)’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인정받은 결과다. 미래에셋 글로벌 ETF 운용자산은 총 250조원으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36.8% 성장률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글로벌 ETF 운용사들의 연평균 성장률(19.5%)을 크게 상회했다. 

국내에서는 ‘TIGER ETF’가 다양한 명품 ETF들을 선보이며 개인 투자자 선호도 1위 브랜드로 자리잡았고, 해외에서는 ‘Global X’가 현지 전문성 강화와 지속적인 혁신을 바탕으로 미국, 캐나다, 유럽, 홍콩, 일본, 호주 등에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장기 투자 파트너로서의 역할도 강화되고 있다. 국내 최초로 TDF(타겟데이트펀드)를 출시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연금 펀드 설정액 1위’, ‘TDF 점유율 1위’, ‘디폴트옵션 전용 펀드 설정액 1위’ 등 연금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 종합 자산 운용사 최초로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M-ROBO’를 출시하며 ‘연금 2.0시대’를 개막했다. 미래에셋의 연금 펀드 운용 노하우에 AI 기술력, 운용 철학이 결합한 AI 기반 맞춤형 연금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신뢰 있는 투자 파트너로 인정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2021년부터 연기금투자풀 주간운용사로서 공공기관 예탁 확대, 투자자산 다변화, 대체투자 상품 최초 출시 등 혁신 사례를 만들어왔다. 특히 글로벌 투자와 해외부동산, 인프라, 국제금융기구 자산까지 투자 영역을 확대하며 안정성과 수익성 제고를 동시에 추구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올해 8월에는 연기금투자풀 최초로 벤처투자 상품을 출시해 연기금과 공공기관의 벤처투자 확대에 기여했다.

미래를 위한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5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블록체인 플랫폼 아발란체(Avalanche)와 MOU를 체결했다. 향후 양사는 규제가 허용되는 국가들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혁신 금융 솔루션을 시장에 선보이며 글로벌 디지털 자산 운용 생태계를 선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미국 AI법인 ‘Wealthspot(웰스스팟)’과 호주 로보어드바이저 전문사 ‘Stockspot(스탁스팟)’ 등 글로벌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강화하며 미래 AI 금융시대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이준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부회장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8년간 글로벌 자본시장을 무대로 끊임없이 도전하며 국내 금융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앞으로도 정직하고 원칙 있는 운용으로 고객 신뢰를 지키며 글로벌 자산운용사로서 책임있는 역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4주 복구 소요·1등급 업무 44% ‘정상화’2025.09.29
한화리츠, 7700억원 리파이낸싱 완료..."현금흐름 개선"2025.09.29
삼성증권, MTS ‘엠팝’ 전면 개편 “해외주식도 원스톱으로”2025.09.29
하나은행, '대전 D-도약펀드' 천억 출자...지역 혁신성장 동참2025.09.29
​카카오뱅크, 펀드 잔고 1조 돌파... 모바일 투자 시대 열었다2025.09.29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