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나들이] '공매도'가 뭘까요? : 경제용어사전|알파경제TV

영상제작국 / 기사승인 : 2024-10-23 11:37:09
  • -
  • +
  • 인쇄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하나를 알아도 깊게 알고 싶은 여러분의 지식 탐구를 향한 목마름을 채워 줄 경제 전문가 김종효 이사의 경제 용어 풀이!

짧게! 빠르게! 간단하게!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제3기 알파걸, 김미정 아나운서와 함께 합니다.


공매도의 세계: 투자 전략의 양면성
-공매도란 무엇이며, 그 역사와 미래 전망은 어떠한가?

[공매도란? (Short Selling)]
· 공매도는 영어로 'Short Selling'이라고 하며, 주식이나 자산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하고 나중에 더 낮은 가격으로 사서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수익을 창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 공매도의 핵심은 주식을 빌려서 파는 것입니다. 투자자는 주식을 소유하지 않고 증권사나 다른 투자자로부터 빌린 후, 시장에서 매도합니다. 이후 주가가 하락하면 더 낮은 가격에 다시 매수하여 차익을 실현합니다.
· 반대되는 개념인 '롱 포지션(Long Position)'과 비교해보면, 롱 포지션은 자산을 먼저 구매한 후 가치 상승 시 매도하여 수익을 얻습니다. 즉, 공매도는 하락장에서 수익을 노리는 반면, 롱 포지션은 상승장을 기대합니다.

[공매도의 역사]
· 공매도의 역사는 17세기 네덜란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튤립 버블 기간 동안 처음으로 기록된 사례가 있습니다. 이후 1929년 대공황 시기에는 과도한 공매도가 시장 붕괴를 가속화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 현대 금융시장에서는 다양한 규제를 통해 공매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특정 조건하에만 공매도가 허용되며, 한국에서도 일정 기준 아래에서만 가능합니다.
· 최근 몇 년간 기술 발전과 함께 알고리즘 트레이딩이 활성화되면서 공매도의 효율성과 위험성이 동시에 증가했습니다.

[흥미로운 사건들]
·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리먼 브라더스의 몰락은 많은 공매도 세력들이 큰 이익을 본 대표적 사례입니다. 이는 공매도가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명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 2021년 초 게임스톱(GameStop) 사태는 개인 투자자들이 모여 대형 헤지펀드의 공매도를 무력화시킨 사건으로 유명합니다. 이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투자 패턴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이러한 사건들은 공매도가 단순한 투자 기법 이상의 사회적 및 경제적 파급력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앞으로의 전망]
· 앞으로 기술 발전과 데이터 분석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더욱 정교한 공매도 전략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이 이를 지원할 것입니다.
· 그러나 각국 정부와 규제 기관들은 시장 안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공매도의 활용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 궁극적으로 투자자들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리스크 관리 능력을 키우고, 윤리적인 책임감을 갖춘 투자를 추구해야 할 것입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주요기사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해킹 사고 사과…"피해 전액 보상 약속" : 알파경제TV2025.09.06
위기의 골프존, 쏟아지는 매물…"8일부터 양수도 플랫폼 등록 의무화 갑질(?)" : 알파경제TV2025.09.06
롯데카드, 해킹 사고 17일 뒤 금감원 늑장 신고…"카드정보 유출 추정" : 알파경제TV2025.09.04
허윤홍 GS건설 대표 “청계리버뷰자이 근로자 추락사…머리 숙여 사죄” : 알파경제TV2025.09.04
빗썸, 또다시 전산 장애 발생…반복되는 사고에 투자자 불만 고조 : 알파경제TV2025.09.04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