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요 HD(4626 JP)의 혁신...AI로 제약 데이터 검색

우소연 특파원 / 기사승인 : 2024-12-02 12:25:13
  • -
  • +
  • 인쇄
(사진=다이요홀딩스 홈페이지)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다이요 홀딩스(HD)이 제약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였다.


화학 중견기업 다이요 홀딩스(HD)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약 데이터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일 전했다.

이 서비스는 다이요 HD의 자회사가 개발을 담당했으며, 생성 AI의 구조를 도입해 채팅 형식으로 문장을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게 했다.

다이오  홀딩스는 “이 기술로 인해 베테랑 직원도 반나절이 걸리던 자료 찾기를 몇 초 만에 완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이요 HD는 이 서비스의 간편한 조작성을 무기로 일본내외 제약회사에 판매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개발된 서비스는 컴퓨터나 기타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법 개정에 따른 신청 서류의 변경점을 자세히 알려줘"와 같은 질문을 입력하면, 생성 AI가 인터넷을 통해 사내외의 관련 자료를 신속하게 검색해 결과를 표시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광학 문자 인식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종이 문서의 내용까지 검색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용 기업의 축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규제, 가이드라인, 업계 단체의 자료까지 검색 대상에 추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서비스의 월 사용료는 30만 엔부터 시작하며, 연결되는 데이터량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서비스 개발은 다이요 HD의 시스템 개발 자회사인 펀 리드(도쿄·도시마)가 담당했다.


다이요 HD의 의약품 자회사인 다이요팔마(도쿄·치요다)에서 이 서비스를 시험 사용한 결과, 제약업계에 정통한 베테랑 직원도 반나절이 걸리던 작업을 AI로 몇 초 만에 완료할 수 있었다고 한다.

제약업계는 신약 개발, 생산라인 변경, 소재 대체 등 운영환경 변화 시 국가나 행정기관에 확인사항을 보고해야 한다.

이 보고는 최대 20개 항목에 달하며, 2주 이내에 회신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신구 자료를 함께 제출해야 하는 점도 기업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다이요 HD는 전자기판 표면용 절연재료 잉크 분야에서 세계 최대 기업이며, 의약품 제조도 담당하고 있다.

또 제약 대기업으로부터 제조와 판매 권리를 이전받아 특허가 만료된 후에도 판매되는 선발약이 주력상품이다.

파킨슨병 치료제와 항생제 등을 취급하며, 30~40년 전부터 축적해온 실험 결과 등의 관련 자료가 이번 새로운 서비스 개발의 토대가 됐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

주요기사

케어링(KER.PA), 대규모 해킹 피해 인정…구찌·발렌시아가 등 고객 정보 유출2025.09.16
인텔(INTC.O), 알테라 지분 매각…연간 비용 전망 하향 조정2025.09.16
코어위브(CRWV.O), 엔비디아(NVDA.O)와 64억 달러 규모 대형 계약…'미판매 용량 매입 조건부'2025.09.16
머스크, 10억 달러 테슬라(TSLA.O) 주식 매입…'보상 패키지 표결 앞두고 존재감 과시'2025.09.16
노바티스(NVS.N), 몬테 로사와 57억 달러 규모 라이선스 계약…면역 매개 질환 공략2025.09.16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