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연합뉴스 |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올해 건설자재 수요가 지난해 대비 증가할 것이지만 안정적인 생산이 뒷받침되지 않아 수급불균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1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경기 변화에 따른 주요 건설자재 수요 변화 연구' 보고서를 통해 "시멘트·레미콘·철근 등 주요 건설자재의 수요와 공급패턴을 분석한 결과 건설경기 하락국면에서 실제 수요보다 더욱 급격히 생산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고 말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현재 진행중인 공사 물량이 감소한 것은 아니지만 자재 생산자들은 원자재 비용 증가와 최근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공사물량 위축에 대비해 생산량을 감축할 유인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지난해부터 신규 착공 물량이 감소해 자재 생산자들이 재고 조정을 위해 생산을 줄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 |
사진= 연합뉴스 |
연구원은 그러면서 "이 같은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2021년 상반기 철근난과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시멘트·레미콘 가격 급등 같은 자재 문제를 향후 2∼3년 내 다시 겪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연구원이 올해 주요 건설자재 수요를 추정한 결과, 시멘트는 작년 대비 4.9∼8.1%, 레미콘은 2.7∼8.8%, 골재는 3.3∼8.0%, 철근 및 봉강은 6.6∼8.9%의 물량 증가가 예상됐다.
이에 대해 박철한 연구위원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공공주택 뉴:홈 50만호 건설을 위해서도 안정적인 자재 공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재 수급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간과 정부가 적정 생산과 재고를 확보해 안정적인 시장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파경제 임유진 (lyjin0305@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