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아들 신유열 전무, 올해 지나면 병역문제 해결할 듯...지분 확보도 관전포인트

김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1-03 13:30:31
  • -
  • +
  • 인쇄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과 장남인 신유열 롯데케미칼 상무 (사진=롯데)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롯데그룹의 후계자가 확실시 되는 일본 국적의 신유열 전무가 올해 만 38세가 됩니다.


이 때문에 병역문제가 해결되는 올해 신 전무의 한국 국적 취득이 유력시되는데요.

국내 병역법에 따르면 현역병입영 또는 사회복무요원·대체복무요원 소집 의무는 만 36세부터 입영의무가 종료됩니다.

하지만 국적법 제 9조에 따라 국적회복허가를 받아 국적을 취득한 사람은 만 38세부터 면제되기 때문입니다.

롯데는 신 전무의 아버지 신동빈 회장이 형제의난으로 큰 내홍에 휩싸였을 때 국적 논란에 휩싸인 바 있습니다.

'토종 한국 기업'을 표방하는 롯데의 차기 후계자가 일본인이라는 점은 향후 승계 과정에서도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어, 신 전무의 한국 국적 취득은 불가피한 면이 있다는 게 중론입니다.

한국 국적 취득 뒤 신 전무의 가장 시급한 숙제는 지분 확보 방법인데요.

지금까지 예측되는 지분 확보 방안은 높은 근로 소득을 통한 자사주 매입이 있고요. 호텔롯데 상장 과정에서의 자금 투입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숨진 쿠팡 기사 휴무 요청하자 "원하는 대로 하려면 이직하라"2025.11.15
안다르 창업자 남편, 北해커에 수천만원 송금…창업자 리스크 부각2025.11.15
검찰, '설탕 가격 담합 의혹' 삼양사·CJ제일제당 임원 3명 구속영장2025.11.15
박문덕 하이트진로 가족회사 '서영이앤티' 부당지원...국민연금, '관리기업' 지정2025.11.14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2025.11.1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