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ETP 급락 주의"

김혜실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6 13:32:19
  • -
  • +
  • 인쇄
금융감독원. 금감원.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최근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원자재 상장지수상품(ETP)이 급등락할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6일 금융감독원은 "최근 전쟁 및 관세 등으로 촉발된 원자재 가격 급등락은 관련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라며 "불투명한 정보에 기반한 투자는 시장 변동성 확대로 인한 가격 변동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개인투자자는 원자재 ETP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은 지난 6월12일 배럴당 68달러에서 6월18일 75.1달러로 10.4% 급등했다. 이후 6월 24일 64.4달러로 14.3% 급락했다.

 

미국 구리 선물 역시 지난 6월 30일 5.08달러에서 7월23일 5.82달러로 14.5% 급등한 후, 지난 7월30일에는 4.64달러로 일중일 만에 20.3% 급락했다.

 

6월 말 기준 원자재 ETP(ETN·ETF)의 자산가치 총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전체 ETP 자산가치 총액의 1.3%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원자재 ETP 상품의 경우 투기자금 유출입이 활발한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이 대부분이다. 원유 ETP 중 레버리지 및 인버스 비중은 72.8%이며, 천연가스 ETP 중 레버리지 및 인버스 비중은 91.1%로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P의 수익률은 기초자산의 수익률에 추적 배수를 곱한 값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변동성이 큰 원자재 시장에서는 투자자의 투자 손실이 단기간에 크게 확대될 수 있다. 특히 기초자산 가격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경우 누적 수익률이 기초자산 수익률보다 낮아지는 '복리 효과'가 발생해 기대한 수익률을 거두지 못할 수 있다.

 

금감원은 "에너지 ETP에 단기간 투기자금이 유입돼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괴리율이 확대되어 투자손실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경험이 많지 않은 개인투자자는 원자재 ETP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전세의 월세화 현상 심화..서울 아파트 월세, 절반이 100만 원 이상2025.09.24
미래에셋, 국내 증시 새 키워드 ‘금·반·지’ 투자 전략 제시2025.09.24
아파트 대안 오피스텔..임대수익률 최고치 기록2025.09.24
'미국 주식 주간거래' 1년2개월 만에 재개2025.09.24
거래소, 무차입 공매도 의심 삼성·한국투자증권 감리 착수2025.09.2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