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 “동물복지 생닭서 발견된 딱정벌레 유충 인체 무해...농가 교육·출하검수 강화”

차혜영 기자 / 기사승인 : 2023-10-30 14:35:45
  • -
  • +
  • 인쇄
하림 ‘동물복지 통닭’ 제품에서 발견된 딱정벌레 유충.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닭육가공 업체 하림은 최근 발견된 자사 출하 생닭에서 발견된 다수의 딱정벌레 유충이 사람에 무해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유해 문제와 상관없이 재발 방지를 위해 동물복지 닭사육 농가에 대한 교육과 제품화된 생닭 출하 시 자사 검수 체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하림 측은 30일 알파경제에 “닭들이 출하되기 도계 과정에 위 속 사료 등을 비우는 4시간 절식 과정을 거친다”면서 “최근 발견된 딱정벌레 유충 닭은 절식 과정 중 딱정벌레 유충을 삼켰던 같고, 도계 과정에서 발견해 제거하지 못하고 출하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27일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구입한 하림의 ‘동물복지 통닭’ 제품에서 수십마리의 벌레가 발견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하림은 “딱정벌레 유충은 그냥 먹을 정도로 고단백 식품으로 분류되는 인체에 무해한 생물”이라면서 “유무해를 떠나 동물복지 닭 사육 농가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림 동물복지 닭고기. (사진=하림)


동물복지는 동물이 배고픔이나 질병 따위에 시달리지 않고 행복한 상태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든 정책이나 시설을 의미한다.

아울러 식용으로 소비되는 소나 돼지 따위의 가축이 열악하고 지저분한 환경에서 자라지 않고 최대한 청결한 곳에서 적절한 보호를 받으며 행복하게 살 권리를 포함한다.

하림은 또 “이번에 발견된 딱정벌레 유충은 도계 과정에서 닭의 목 안쪽 소낭에 있던 것이 제거가 잘 안된 만큼 생산 설비 부분도 전체적으로 다시 점검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의 생닭 제품을 최초 발견한 제보자는 문제가 된 제품의 원인을 찾기 위해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 통합식품안전정보망에 민원을 접수해놓은 상태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주요기사

CJ그룹, 맞춤형 채용 콘텐츠 인기...누적조회수 1,400만회 기록2025.09.26
두산, 지주사 지위 벗었다…로보틱스·에너지 M&A 신호탄되나2025.09.26
GS건설, 교보문고와 함께 입주민 전용 ‘큐레이션 전자도서관' 선보여2025.09.26
소노인터내셔널, 5성급 프리미엄 리조트 ‘소노캄 경주’ 리뉴얼 오픈2025.09.26
LG전자, 사우디 정부와 네옴시티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협력 논의2025.09.26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