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김현탁 박사 유튜브 캡처) |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한국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가 현재까지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가 없다고 말했다.
검증위는 18일 3차 서면 브리핑에서 "LK-99 제조공정에 따라 만들어진 불순물이 포함된 샘플 및 불순물이 최소화된 단결정 샘플을 일부 제조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확보한 샘플 특성을 측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는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서울대, 성균관대 양자물질 초전도 연구단, 고려대 외 부산대, 한양대, 성균관대 전자활성에너지소재연구실, 경희대까지 총 일곱 군데가 샘플 재현실험을 진행 중이다.
이중 한양대 고압연구소는 지난 11일 LK-99의 재료 중 하나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던 황산납을 외국에서 확보해 다른 연구실에도 제공했다.
검증위는 최근 중국 후아종 과기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등이 이미 물성까지 측정해 초전도 특성을 찾지 못했다는 논문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검증위는 "퀀텀에너지연구소의 LK-99와 같은 샘플을 제작하고 논문의 실험결과와 같은 특성값이 측정되더라도 상온 초전도체를 뜻하는 것은 아니"라며 "이런 경우에도 'LK-99를 상온 초전도체라 보기 어렵다'는 검증위 입장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강조했다.
또 검증위는 퀀텀에너지연구소가 지난 11일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LK-99 관련 논문 원고 개정본을 게재한 것과 관련해 "이론이 추가됐을 뿐, 새로운 측정결과는 추가되지 않았다"며 "이 측정결과로는 초전도체임을 입증하지 못한다"고 전했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