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일본 경제산업성은 운송 분야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수소연료전지(FC) 차량의 일본 자국내 보급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특정 도도부현을 '중점 지역'으로 선별, 대형 FC 차량의 운용 증가와 필수적인 수소 스테이션의 설치 지원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2일 전했다.
중점 지역 선정 기준은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대형 차량의 숫자가 전국 평균을 초과하는 지역으로 설정되어,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도도부현에는 구매 비용 보조 및 수소 인프라 구축 등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오늘(12일) 열리는 민관 협의회에서 중점 지역 선정기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2024년 중에 공모를 시작하여 2025년 3월까지 약 10건의 프로젝트 채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자동차 제조사, 운송 회사 및 수소 스테이션 사업자 간 협력 체계 구축을 독려할 방침이다.
특히 대규모 운송 네트워크를 갖춘 도쿄도와 아이치현 등은 이번 공모에 주요 응모 후보로 꼽히며, 이미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FC 트럭 구입 비용 보조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대형 FC 차량의 경우 현재까지는 높은 가격과 제한된 인프라 때문에 보급이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하지만 경제산업성은 2030년까지 대형과 소형 합쳐 최소 1만7천대 이상의 FC 차량 도입 필요성을 시사하며 양산 체제 갖추기에 속도를 낼 계획임을 전했다. 예정대로 진행되면 가격면에서도 큰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내에서 운영 중인 대응 가능한 수소 스테이션은 현재 3곳으로 제한되어 있으나, 정부는 중점 지역 내 수요 증대와 맞물려 해당 인프라 확장에 주력할 방침임을 시사한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