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오는 2028년까지 총 210억 달러(약 31조 원)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의 효과를 입증하는 사례"라며 “현대차가 철강과 자동차를 미국에서 생산함으로써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열린 행사에서 향후 4년간 ▲자동차 분야에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분야에 61억 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 63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내 공급망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13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 회장은 미국 에너지 산업 지원을 위해 약 30억 달러 규모의 LNG 구매를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노력은 미국 내 공급망 현지화를 가속화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
(사진=연합뉴스) |
정 회장에 앞서 단상에 선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는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며, 그 결과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가 곧 매년 100만대 이상의 미국산 자동차를 생산할 예정"이라며 "이 투자는 관세가 매우 강력하게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의 생산 역량을 늘려 연간 120만 대 이상을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루이지애나주에서는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저탄소 자동차 강판 특화 제철소를 세울 예정이다.
![]() |
(사진=연합뉴스) |
이번 투자계획은 한국 기업으로서는 트럼프 집권 이후 최초의 대규모 투자로,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세계 주요 기업들이 미국 내 설비 투자를 통해 고율 관세 위험을 피하려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현대차가 신설할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산 철강에 부과해온 관세 대상 품목이다. 한국도 기존 무관세 쿼터 폐지를 맞아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