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원·달러 환율이 지난달 2% 넘게 오르면서 수입물가가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10월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2020=100)는 138.17로 전월 대비 1.9% 상승했다.
수입물가지수는 7월 이후 넉 달 연속 오름세이며, 상승 폭은 지난 1월(2.2%) 이후 가장 크다.
국제유가는 내렸지만 환율 상승이 물가를 밀어 올렸다.
두바이유는 9월 배럴당 70.01달러에서 10월 65.00달러로 7.2%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은 평균 2.3%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원재료가 광산품(-0.9%)을 중심으로 0.6% 하락했고, 중간재는 컴퓨터·전자·광학기기(9.7%), 1차금속제품(5.7%) 등이 뛰며 3.8%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1.3%, 1.7% 올랐다. 암모니아(15.2%), 귀금속정련품(15.7%), 동정련품(10.3%), 인쇄회로기판(8.3%), 이차전지(4.7%)의 상승 폭이 컸다.
10월 수출물가지수는 134.72로 전월 대비 4.1% 상승해 2023년 4월 이후 18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공산품은 컴퓨터·전자·광학기기(10.5%), 1차금속제품(4.9%)을 중심으로 4.1% 상승했고, 농림수산품은 2.8% 올랐다.
반도체 가격이 강하게 오르며 D램은 20.1%, 플래시메모리는 41.2% 뛰었다. 은괴(18.8%), 동정련품(9.9%)도 큰 폭 상승했다.
무역지수를 보면 10월 수입물량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0% 상승, 수입금액지수는 2.4%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와 금액지수는 각각 1.0%, 0.5% 하락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6.62로 전년 대비 3.9% 상승, 28개월 연속 개선세를 이어갔다.
수출가격이 0.5% 오르고 수입가격이 3.3% 내리면서 교역조건이 개선된 영향이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