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금융감독원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를 부실하게 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에 나선다.
이번 점검은 신협중앙회, 저축은행, 캐피탈사 여러곳이 우선 점검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후 증권업계, 지방은행, 보험사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11일부터 지나치게 관대하거나 미흡하게 PF 사업성을 평가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실시한다.
특히 6월 말 기준 연체율이 6%대까지 오른 신협이 첫 번째 점검 대상에 올랐다.
PF 사업장 평가를 제출한 신협 개별 조합들의 경우 금감원이 계량화된 기준에 따라 보유 중인 자체 평가와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금감원은 신협중앙회에 PF평가에 대한 집중 현장 지도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 금감원은 저축은행 및 캐피탈 업계에서도 각각 5~6개 회사에 대해 현장 점검을 진행하기로 했다.
미흡한 PF 사업성 평가를 한 개별 새마을금고에 대해서는 행정안전부 및 새마을금고중앙회에 통보할 예정이다.
이들 금고에 대해서는 행안부 및 새마을금고중앙회 주도로 점검이 실시될 예정이며 필요 시 금융당국이 인력을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PF 부실 우려가 큰 2금융권을 중심으로 현장 점검이 진행될 예정이다. 오는 15일부터는 증권사, 은행, 보험사까지 점검 대상이 확대된다.
은행업권 중 지방은행들에서 미흡한 PF 사업성 평가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금융당국은 사업성 평가 기준을 기존 3단계(양호·보통·악화우려)에서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로 세분화한 바 있다.
기존의 악화우려 사업장은 대출액의 30%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했는데 앞으로 부실우려 사업장은 75%의 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한다.
따라서 2금융권은 추가 충당금 적립 등의 손실 인식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현장 점검 및 지도 등을 거친뒤 오는 26일 사업성 평가 결과 및 충당금 규모를 확정할 방침이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