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자동차 판매 시장.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미국 자동차 업계 단체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5% 수입 자동차 부품 관세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업계 단체들은 22일(현지시간) 관세 부과가 차량 가격 인상과 판매 감소를 불러오고, 정비 비용까지 높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업계 연합은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릴 것이며, 소비자 차량 가격 상승, 딜러 판매 감소, 정비·수리비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다수 부품 공급업체는 갑작스런 관세 충격을 감당할 자본력이 없으며, 이미 일부는 경영난에 처해 있다"며 "부품업체 한 곳의 실패만으로도 완성차 업체의 생산라인 전체가 멈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자동차 관세 행정 명령 서명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5월 3일까지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는 지난 4월 14일 멕시코, 캐나다 등에서 수입되는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조정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포드 자동차는 최근 "관세가 지속되면 신차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자동차 연구센터가 이달 초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4월 3일부터 시행한 자동차 수입 관세로 인해 미국 완성차 업체들은 2025년까지 약 1080억 달러(약 150조 원)의 비용 증가를 겪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알파경제 김지선 특파원(stockmk2020@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