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탠덤 태양전지 우주 진출 예고

차혜영 기자 / 기사승인 : 2024-05-13 10:29:49
  • -
  • +
  • 인쇄
우주용 탠덤 유연 태양전지_셀 구조 (사진= 한화시스템)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한화시스템이 사내벤처 플렉셀 스페이스와 인하대학교가 위성 및 태양전지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고 13일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위성 설계 혁신을 위한 기술 협력에 주력하며 국내 우주산업 소부장 제품의 발전과 세계적인 주도성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첫 단계로 플렉셀 스페이스는 2025년 하반기 누리호 4차 발사에 탑재될 인하대학교의 관측위성 'INHARoSAT'에 자사가 개발한 '우주용 탠덤 유연 태양전지'를 공급한다.

이 태양전지는 CIGS와 페로브스카이트를 결합한 것으로, 낮은 비용으로 기존 제품보다 가볍고 높은 출력을 제공할 수 있어 위성·우주선 산업 발전의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주용 탠덤 유연 태양전지_판넬이 두루마리처럼 펼쳐지는 전개 모듈 형상 (사진= 한화시스템)


플렉셀 스페이스의 탠덤 태양전지는 유연성을 지녀 두루마리처럼 말렸다 펼쳐지는 구조로 탑재되며, 고객이 원하는 출력까지 태양전지를 펼쳐 사용할 수 있다.

소면적·곡면 등 다양한 위성 표면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플렉셀 스페이스는 이번 기회를 통해 탠덤 태양전지의 우주 헤리티지를 확보해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인하대학교는 위성 개발 시 혁신적인 태양전지 기술을 접목해 우주 분야에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는 "CIGS와 페로브스카이트를 결합한 탠덤 태양전지가 우주로 가는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이번 협약은 상용 기술을 접목한 미래 태양전지의 운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첫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주 최초의 신소재 태양전지 성능을 검증하며 글로벌 우주 태양전지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검증을 계기로 우주용 탠덤 태양전지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위성 제조는 물론 우주 탐사 및 발전소 건설등 다양한 우주 프로젝트에 필요한 핵심 구성품 개발에주력할 방침이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2025.11.14
카카오 책임경영 담당 임원, 자녀 결혼식에 직원 동원해 논란2025.11.14
봉화·태백·석포 주민들, UN에 '진짜 목소리' 들어달라 서한... "환경 개선 체감, 생존권 위협"2025.11.14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앞세워 지스타 현장 장악2025.11.14
홈플러스, 하림과 공동기획 '마제소바 라면' 출시2025.11.1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