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종효 기자] 지난해 대형 대부업체들의 폐업이 이어지며 연체율이 상승하고 대출잔액이 감소했다.
2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형 대부업자의 연체율이 12.6%로 집계되어 전년 동기 대비 1.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등록된 대부업자들의 총 대출잔액은 지난 반년 사이 약 2조775억 원(14.2%) 감소한 12조5146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감소세는 과거 수년간 관찰된 추세와 일치하며,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 등 주요 업체의 폐업과 연체율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지난해 말 기준으로 등록된 대부업자 수는 8597개로 상반기 말보다 174개 줄었다. 해당 기간 동안 대부 이용자 수도 84만8000명에서 72만8000명으로 약 14.2% 감소했다.
대출 유형별로는 담보대출이 전체의 약 62.5%, 신용대출이 약 37.5%를 차지했으며, 개인당 평균 대출액은 지난해 중반과 비교하여 변동 없이 1719만원을 유지했다.
평균 대출 금리는 소폭 상승하여 14.0%를 기록했다.
금감원은 법정 최고금리 인하에 따른 시장 변화에 주목하며 불법 사금융 피해 방지를 위해 정책 서민금융상품 홍보를 강화할 계획임을 밝혔다.
특히 오는 10월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있는 만큼 모든 대부업자를 대상으로 한 사전 교육 및 간담회 개최도 예정하고 있다.
더불어 금감원은 앞으로도 불법 행위에 엄격하게 대응하여 위규 사항에 대해서는 엄중한 제재를 가할 방침임을 밝혔다.
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알파경제 김종효 기자(kei1000@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