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한국의 여성 고용 지표가 지난 20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 정책의 미흡함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OECD 38개 국가의 15∼64세 여성 고용 지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여성 고용률은 61.4%, 경제활동 참가율은 63.1%로 모두 31위를 기록했다.
한경협의 보고서는 "2003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여성 고용률 순위는 27위에서 31위로 4계단 하락했으며, 이 기간 동안 한 번도 하위권(26∼31위)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32위에서 31위로 1계단 상승하는 데 그쳤다.
![]() |
사진=한경협 |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이다.
2021년 기준 한국의 해당 지표는 56.2%로,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30-50클럽' 7개국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30-50클럽'은 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천만 이상인 국가들을 지칭한다.
한경협은 여성 고용률이 70%를 넘는 독일, 일본, 영국과 한국의 고용환경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은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 두 가지 측면에서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유연성 측면에서, 한국은 주 단위로 연장근로를 최대 12시간으로 제한하고 있다.
반면 독일, 일본, 영국은 월 단위 이상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더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족정책 지출 측면에서도 한국은 뒤처져 있다.
2020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정책 지출 비중은 1.5%로, 독일(2.4%), 영국(2.3%), 일본(2.0%) 등 3개국 평균인 2.2%에 미치지 못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