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건전성 및 자본비율 개선 필요-흥국證

김혜실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2 10:54:48
  • -
  • +
  • 인쇄
(사진=기업은행)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기업은행이 3분기 순이자마진(NIM) 개선과 함께 견조한 이자이익을 시현했지만, 향후 건전성 및 자본비율 개선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흥국증권은 12일 기업은행 3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한 7466억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전했다. 

 

순이자이익의 경우 전 분기 대비 3.7% 증가한 1조 9529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소송 승소로 인한 일회성 요인이 90억원 존재했다. 

 

시장조달 중금채 비중 확대를 포함한 조달 비용 감축 영향으로 NIM은 전 분기 대비 +2bp 상승한 1.57%를 기록하였으며 원화대출과 중소기업대출의 경우 각각 0.7% 성장했다.

 

3분기 대출 성장이 다소 둔화되었는데 이는 상반기 선제적 대출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로 판단했다. 

 

유준석 흥국증권 연구원은 "2026년은 생산적 금융 확대에 따라 기업대출 부문에 있어서 은행 간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마진 방어가 중요해질 전망"이라며 "남은 숙제는 건전성 및 자본비율 개선"이라고 말했다. 

 

기업은행 종목진단 (출처=초이스스탁)

은행 기준 3분기 CCR은 0.51%로 전 분기 대비 4bp 상승했다. 연체율의 경우 9bp 상승한 1.0%를 기록하였으며 업종별로 살펴보면 부동산임대업, 음식·숙박업 등에서 높은 수준의 연체율이 지속되고 있다. 

 

유 연구원은 "경기 부양책 집행과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건전성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해당 업종의 특성을 고려할 때 연체율의 유의미한 개선에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CET1 비율은 전 분기 대비 2bp 하락한 11.71%을 기록했고, 정부의 생산적 금융 확대 방향에 따라 기업대출 성장을 가속할 것으로 예상되어 자본 비율의 속도감 있는 개선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윤병운號 NH투자증권, 사상 최대 실적 냈지만…압수수색·집단소송 '사법 리스크'에 발목2025.11.12
KB금융, PBR 1.0배 달성 가시성 가장 높아-흥국證2025.11.12
하나금융, 비은행 부분 실적 개선세 관건-흥국證2025.11.12
토스증권, AI 기반 시장 분석 서비스 ‘AI 시그널’ 출시2025.11.12
우리금융, 보험사 인수에도 CET1 비율 개선 -흥국證2025.11.12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