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한수원 사장, 신규 원전 건설·원전 수출 등 과제 산적
![]()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황주호 전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사장의 이임 이후 약 3개월간 이어진 공석 사태를 마무리하기 위한 차기 사장 공모 절차가 이르면 이달 말 시작될 전망이다.
9일 원자력 업계에서는 박원석 전 한국원자력연구원장과 한병섭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이사가 차기 한수원 사장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원전 설계 전문가인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도 새롭게 후보군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한수원 사장은 정재훈 전 사장과 같이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 출신 관료들이 맡아왔다는 점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캠프에서 정책 자문을 맡았던 박기영 전 산업부 2차관도 후보군으로 거론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
| (사진=연합뉴스) |
◇ 이달 하순 임원추천위원회 구성, 차기 사장 선정 공모 절차 착수
한수원은 이르면 이달 하순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차기 사장 선정 공모 절차에 착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공기업 최고경영자 선정은 통상 공모 절차를 거쳐 진행되며, 이후 면접 심사,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심의, 한수원 이사회 의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제청 및 대통령의 최종 임명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런 절차를 고려할 때, 임추위 구성 시점부터 최종 임명이 확정되기까지 최소 2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신임 사장은 내년 1월 이후에나 업무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통해 확정된 신규 원전 건설 추진 여부에 대한 결정이 사실상 내년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 |
| (사진=연합뉴스) |
◇ 차기 한수원 사장, 신규 원전 건설·원전 수출 등 과제 산적
차기 한수원 사장은 신규 원전 건설 추진 및 원전 수출 등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중책을 맡게 된다.
특히 11차 전기본에 포함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의 실행 여부가 가장 시급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해당 계획에는 2037년과 2038년 도입 예정인 대형 원전 2기와 2035~2036년 도입 예정인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가 포함되어 있다.
원전 건설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면, 2037년과 2038년 도입 예정인 대형 원전 부지 선정 작업은 이미 올해부터 시작돼야 한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는 '합리적 에너지 믹스' 정책 기조 하에 신규 원전 건설 결정을 사실상 보류한 상태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 신규 원전 건설 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며, 관련 절차 시작 여부는 한수원의 재량에 달렸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신규 원전 건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한 이후, 원전 업계에서는 정부가 사실상 탈원전 정책 기조로 선회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한 원전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신규 원전에 대해 부정적인 방향성을 명확히 보이는 상황에서, 현재의 한수원 경영진이 대행 체제로 이러한 중대한 결정을 내리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대외적으로는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재권 분쟁 해소 합의 이후 국내에서 '불공정 합의'라는 비판 여론이 고조되는 가운데, 추가 수주 가능성이 남아있는 체코 시장을 포함한 향후 원전 수출 전략을 새롭게 수립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또한, 자국 내 원전 확충을 추진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 기업들의 사업 참여를 희망하고 있어, 미국 원전 시장 진출 여부에 대한 결정도 내려야 할 상황이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