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케이뱅크)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를 또다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와 증시 부진을 주요 원인으로 들었으나, 업계에서는 '몸값 논란'과 '업비트 의존도'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8일 케이뱅크는 공식 입장문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IPO를 연기하고 향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세 번째 IPO 연기로, 시장에서는 케이뱅크의 상장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케이뱅크 측은 최근의 주식시장 부진으로 인해 적정한 기업가치 평가가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결정의 배경에 '고평가 논란'이 자리 잡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케이뱅크와 상장 주관사들이 비교 기업들을 높게 설정해 기업가치를 과대 평가했다는 비판이 있었다"고 전했다.
케이뱅크는 약 4조 원의 기업가치를 희망했으나, 기관 수요예측에서 실패한 바 있다. 또한,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와의 협업 구조도 IPO 연기의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7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으로 업비트 예치금 이자율이 연 0.1%에서 2.1%로 상승했다.
이로 인해 케이뱅크의 연간 이자 부담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이뱅크는 주식시장 상황이 개선되면 신속히 IPO를 재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개인과 기업 시장에 주력해 고객과 자산 성장을 이어감으로써 혁신금융과 상생금융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케이뱅크의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다. 2023년 12월 말 기준 고객 수는 1274만 명으로, 전년 대비 320만여 명이 증가했다.
재무 실적 면에서도 2023년 3분기까지 당기순이익 1224억 원을 기록해 2022년 연간 실적(836억 원)을 이미 상회했다.
또한, 2023년 3분기 말 기준 BIS총자본비율은 14.42%로, 규제비율(2024년 말 기준 11.5%)을 크게 웃도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재무 건전성도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케이뱅크의 이번 IPO 연기 결정은 인터넷전문은행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전문가들은 향후 케이뱅크의 기업가치 재평가와 업비트와의 협업 구조 개선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