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차세대 비만 치료제 미국 FDA 임상 1상 돌입

김영택 기자 / 기사승인 : 2024-05-07 12:11:20
  • -
  • +
  • 인쇄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HM15275 (사진=한미약품)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차세대 비만 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코드명: HM15275)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 계획(IND) 승인을 얻어 본격적인 임상에 착수했다고 7일 발표했다.

 

이 약물은 체중 감량 시 근육 손실 최소화와 함께 25% 이상의 체중 감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건강한 성인 및 비만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 특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한미약품은 대사성 질환 분야에서 축적된 연구개발(R&D) 역량을 바탕으로 HM15275의 개발 과정을 가속화해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에페글레나타이드(GLP-1 단일제)의 임상 3상 개발이 진행 중인 가운데, HM15275는 이를 이어 받아 비만 치료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해 설계됐다. 


HM15275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위 억제 펩타이드(GIP) ▲글루카곤(Glucagon, GCG) 등 3가지 수용체 작용을 최적화해 비만 치료에 특화되어 있다. 다양한 대사성 질환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GLP-1 수용체 작용제는 포만감 증가와 인슐린 분비 및 감수성 개선을 통해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에 기여한다. 

 

GIP는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약리학적 이점을 강화하면서 일반적인 위장관 부작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글루카곤은 포만감 조절과 에너지 소비 및 지질 대사 조절에 관여한다.

 

(사진=연합뉴스)

이런 3가지 약리작용의 결합은 비만뿐 아니라 제2형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치료에 있어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는 6월 미국에서 열리는 2024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는 HM15275에 관한 4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한미약품은 HM15275의 계열 내 최고신약(Best-in-class)으로서의 가능성과 그 작용 기전 및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 모델에서의 차별화된 치료 효능을 입증하는 결과를 공개할 것이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은 "HM15275에는 한미가 인크레틴 분야에서 20년 넘게 연구하며 축적한 지식과 노하우가 집약되어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비만 영역에서 치료 효과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신약 개발에 전념하겠다"고 전망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박문덕 하이트진로 가족회사 '서영이앤티' 부당지원...국민연금, '관리기업' 지정2025.11.14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2025.11.14
카카오 책임경영 담당 임원, 자녀 결혼식에 직원 동원해 논란2025.11.14
봉화·태백·석포 주민들, UN에 '진짜 목소리' 들어달라 서한... "환경 개선 체감, 생존권 위협"2025.11.14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앞세워 지스타 현장 장악2025.11.1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