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롯데카드가 297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내놓은 보상안을 두고 소비자들을 우롱한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국회 청문회에서는 롯데카드의 보상안이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으며, 피해자들은 온라인 카페를 중심으로 집단 소송 채비에 나서는 등 파장이 확산하는 양상입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24일 '통신·금융 해킹 사태' 관련 청문회를 열고 롯데카드의 사후 대응을 집중적으로 추궁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연회비가 보통 2만∼3만원인데 고객 정보를 너무 작게 생각하는 것 같다"며 "피해자들의 마음까지 고려해 보상안을 면밀히 검토해달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연회비 면제 등 보상 체계는 정보 유출 자체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고객들이 카드를 재발급받고 불안해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앞서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해킹 사고를 공지하며 ▲부정사용 발생 시 2차 피해 포함 전액 보상 ▲카드 사용 알림(월 300원) 및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크레딧 케어'(월 990원) 연말까지 무료 제공 ▲정보 유출 고객 대상 최대 10개월 무이자 할부 등을 보상안으로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다고 자체 분류한 28만 명(9.4%)에게만 다음 연도 연회비를 면제해주고, 카드 해지 고객은 혜택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피해자들의 분노는 집단행동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정보 유출 피해자들이 집단 소송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 카페 회원 수는 24일 기준 1만 명에 육박했으며, 이 중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인원은 5800명을 넘어섰습니다. 신철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팀장은 "롯데카드가 고객들 의견을 듣고 선제적 조치를 해야 하는 동시에 금융당국이 해킹 사고에 대한 보상안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롯데카드는 정보가 유출된 297만 명 중 128만 명(43%)에 대한 카드 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등 보호 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