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한국은행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우리나라 경제적 부는 지난해 소폭의 성장을 이어갔으나, 그 증가세는 예년에 비해 다소 주춤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주로 글로벌 주식 시장의 호조에 힘입은 금융자산의 가치 상승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 가격 하락으로 인한 비금융자산의 타격 때문으로 분석된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한국의 국민순자산은 2경 3039조 원으로, 전년 대비 약 472조 원(2.1%) 증가해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대비 1% 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국민순자산 증가율의 둔화를 명확하게 드러냈다.
명목 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 역시 9.7배에서 9.6배로 소폭 하락해 경제성장 속도와 비교할 때 순자산 증가속도가 다소 느렸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 규모가 전년 대비 감소세에서 벗어나 소폭 (1.7%)증가했다.
이는 글로벌 주식 시장의 회복세와 함께 지분증권과 투자 펀드 자산이 큰 평가 이익을 보인 결과로 해석된다.
부동산(주거용 건물 포함) 자산이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그 중요성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sta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