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국정감사에 출석해 최근 기준금리 인하 결정의 배경을 설명하며 인하 시기 지연에 대한 비판에 해명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너무 늦었다는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야당 의원들의 지적에 "7월부터 기준금리 인하를 고민하고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당시 부동산 가격이 빨리 오르고 가계부채 증가 속도도 너무 빨라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주지 않기 위해 쉬었다 내렸다"고 부연했습니다.
이 총재는 또 '정부의 주택공급·대출관리 정책이 늦어 집값이 뛰고 피벗도 늦춰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5∼6월 당시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데이터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며 "그때만 해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착륙이 주요 과제였던데다, 환율 변동성이 커지는 등 복합적 원인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조기 금리 인하 주장에 대해서도 의견 차이를 드러냈습니다.
그는 "KDI처럼 금리 인하로 성장률만 올리는 게 중장기적으로 경제에 좋은 것인지, 경기와 금융안정 중 어디에 방점을 주느냐에 따라 생각이 다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자영업자 가계부채가 지금 많이 쌓인 것이 저금리 때문인 만큼 구조적 문제도 생각해야 한다"며 "가계부채가 구조적으로 증가한 원인도 어느 정도 없애가면서 (통화정책 전환을) 해야 한다는 면에서 (KDI와) 시각이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