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2일 광주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고려시멘트 장성공장 노동자들이 '생존권 보장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정부가 시멘트 가격 안정화를 위한 업계 노력을 당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오후 오후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주영준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시멘트 업계 간담회'를 열고 최근 시멘트 가격 인상 관련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쌍용 C&E 등 7개 시멘트 생산업체 및 한국시멘트협회가 참석했다.
쌍용 C&E 및 성신양회 등 시멘트 업계는 "작년 유연탄의 비정상적 고가상황에 따른 적자 누적,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설비 투자비용 증가 등으로 시멘트 생산업체의 경영 여건이 어렵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질소산화물 감축 등을 수행하기 위한 시멘트 업계의 부담이 상당하다고 강조했다.
주 실장은 "시멘트 산업은 국가 경제발전의 기초가 되는 기간산업이자 건설산업의 기초소재 산업으로,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해 달라"며 "그간 신성장·원천기술 지정을 통한 세액공제 혜택 등 지원을 확대해 오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업계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 실장은 "업계의 경영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유연탄, 전기료 등 각종 비용의 변동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향후 원만한 가격협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업계의 관심을 부탁한다"고 요청했다.
앞서 시멘트 업계는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설비투자 비용 증가와 전력 요금의 상승으로 가격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해 왔다.
반면 레미콘과 건설업계는 이미 여러 차례 시멘트 가격 인상이 이뤄진 상황에서 추가 인상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갈등을 이어오고 있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