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 아파트 건설현장 사진.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부동산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올해 상반기 폐업한 종합건설업체 수가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3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CON)의 폐업 공고 건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1∼6월 종합건설기업 폐업 건수는 총 248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1년 상반기의 310건 이래 최대치다.
지난해 종합건설업체 폐업 건수는 모두 362건으로 한달 평균 30건 수준이었다.
하지만 올 상반기는 41건으로 작년보다 월평균 10건가량 많다.
특히 지난 6월의 경우 폐업 공고 건수는 53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35건 급증했다.
종합건설업체는 발주자와 원도급자, 하도급자 등으로 나뉘는 건설 시장에서 원도급자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종합건설업체는 하도급자에 해당하는 전문건설업체에 다시 하청을 주는 구조여서 종합건설업체는 업계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편으로, 종합건설업체 폐업은 전문건설업체 운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건산연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건수가 늘어난 원인으로 부동산 경기 부진과 이로 인한 건설 수요 감소를 지목했다.
실제로 올해 '해피트리' 브랜드로 잘 알려진 중견 건설사 신일건설이 지난달 2일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등 중견 건설사들의 자금난이 이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부동산 경기 부진이 지속하는 가운데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공사비가 급증하는 등 당분간 신규 수주 확대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건설업계의 폐업 건수는 당분간 감소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알파경제 임유진 (qrq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