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연료 수요 약세·달러 강세 신호로 하락세 연장

김지선 특파원 / 기사승인 : 2024-05-13 16:37:44
  • -
  • +
  • 인쇄
유가 하락세.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유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유가는 연료 수요 약세 조짐과 미국 연방준비제도 관계자들의 발언으로 금리 인하 희망이 약화되면서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는 성장 둔화와 세계 최대 경제의 연료 수요 축소 가능성을 야기할 수 있다.

 

브렌트유 선물은 배럴 당 82.53달러로 26센트(0.3%) 하락하였고, 미국 서부 텍사스 중질유 선물가는 78.03달러로 23센트(0.3%) 하락했다.

 

연준 관계자들이 미국 금리가 인플레이션을 2%로 회복시킬 만큼 충분히 높은지에 대해 논의함에 따라 두 기준 모두 금요일에 약 1달러 하락했다.

 

분석가들은 미국 중앙은행이 달러를 지지하면서 정책 금리를 현 수준에서 더 오래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달러 강세는 다른 통화를 보유한 투자자들에게 달러 표시 유가를 더 비싸게 만든다.

 

OPEC+ 로고. (사진=연합뉴스)

 

정유업체들은 전 세계적으로 신규 정유소들이 공급을 늘리고, 북반구의 온화한 날씨와 경제활동의 둔화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경유 수익이 감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OPEC+로 알려진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그 동맹국들이 하반기까지 감산을 연장할 것으로 기대감으로 시장은 여전히 지지를 받고 있다.

 

OPEC 제2의 석유 생산국인 이라크 장관은 OPEC이 합의한 자발적인 산유량 감축에 전념하고 있으며 세계 석유 시장에서 더 많은 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회원국들과 협력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 장관의 발언은 토요일 이라크가 충분한 자발적 감축을 했으며 6월 초 OPEC+ 생산국들이 제안한 추가 감축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는 그의 제안에 따른 것이다.

 

이달 초 OPEC+는 이라크에 2024년 첫 3개월 동안 하루 누적 60만2천 배럴의 생산량 할당량을 초과 달성할 것을 촉구한 후 바그다드가 남은 해 동안 추가적인 생산 삭감으로 보상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알파경제 김지선 특파원(stockmk2020@alphabiz.co.kr)

주요기사

메타(META.O), 첫 상용 '스마트 글래스' 선보여..."눈 앞에 펼쳐지는 AI 기술"2025.09.18
英, 트럼프 국빈 방문 사상 최대 해외 투자 확보...경제적 효과 적극 강조2025.09.18
애니컬러(5032.JP) 깜짝 실적에 상한가 재현, 주가 조정시 매수2025.09.18
퍼스트솔라(FSLR.N) 태양광 설치량 증가, 관세로 '상대적 위치' 강화2025.09.18
구글(GOOGL.O), 페이팔(PYPL.O) 결제 서비스 통합…AI 기반 쇼핑·결제 서비스 경험 확대2025.09.18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