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강민국 의원이 "횡령사고가 끊이지 않는 우리은행에 대해서는 최고책임자인 임종룡 금융지주회장에게 강력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에서 또다시 100억원대 횡령 사고가 터졌다. 지난 2022년 700억원대 대규모 횡령 사건 이후 '내부통제 강화'를 약속했던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다짐이 무색해지는 순간이다.
21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우리은행 임직원 횡령사고 관련 사고 내역'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세 건의 횡령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최근 발생한 100억원대 횡령은 임 회장이 취임사에서 강조했던 '새로운 기업문화 수립'과 '내부통제 혁신'이 공염불에 불과했음을 여실히 드러낸다.
700억원대 우리은행 횡령사고 발생 이듬 해인 2023년에 취임한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취임사에서 '새로운 기업문화 수립'을 강조하며 "내부통제 등 조직에 부족한 점이 있거나 잘못된 관행이 있는 분야는 과감한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강 의원은 "금융감독원 또한 반복되고 있는 은행 임직원 횡령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조직 문화 변화가 필요하다는 등 원론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지만, 우리은행 등 금융권 임직원의 횡령사건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이는 고금리 장기화로 자영업자 등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는 가운데, 5대 시중은행이 지난해 41조원이 넘는 이자이익을 올리며 '돈 잔치'를 벌인 것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금감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54%로, 2021년 4분기(0.16%) 대비 3배 이상 치솟았다.
강 의원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계속되는 고금리 기조로 자영업자의 연체율이 증가하는 등 서민들은 어려움이 깊어지만 반면 은행권은 역대급 이자이익을 얻으며 돈잔치와 모럴헤저드가 심해지고 있지만 금융감독원은 수수방관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금융감독원이 일련의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개선을 발표하였음에도 횡령사고가 근절되지 않았다는 것은 동 대책들이 사후약방문 대책으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입증한다"며 금융감독원의 미온적인 대책을 비판했다.
강 의원은 "금융업권의 횡령에 대해서는 반드시 철저한 관리.감독과 CEO까지 책임을 묻는 보여주기식이 아닌 강력하고 실질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