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6명, 대기업 취업 선호…中企 외면 여전

유정민 / 기사승인 : 2023-05-24 16:56:19
  • -
  • +
  • 인쇄
서울 시내 한 대학교의 취업게시판.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악화된 청년 고용상황에서도 청년들은 대기업·공공기관 위주의 일자리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청년구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청년세대 직장 선호도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은 대기업(64.3%), 공공부문(공공기관·공무원 등)(44.0%), 중견기업(36.0%)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5.7%에 그쳤다. 이 같은 청년들의 대기업·공공부문 선호현상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고착화시키고 있다.

중소기업 선호가 저조한 이유로는 업무량에 비해 낮은 처우가(63.3%)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워라밸 실현 어려움(45.3%) , 불투명한 미래성장(43.7%) , 낮은 고용안정성 우려(39.3%),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37.0% )등이 뒤를 이었다.

청년 구직자들은 직장을 선택할때 임금 및 복지수준(86.7%), 워라밸 등 근로시간이(70.0%), 근무환경(안정성, 업무강도)(65.7%), 고용안정성(57.0%), 기업위치(44.0%)를 중요시 했다.

청년일자리 문제가 해소를 위해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46.7%)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경기활성화정책(40.7%), 노동시장 개혁(33.3%), 기업투자 촉진(24.7%),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23.0%), 대졸자 과잉해소 등 교육개혁(18.3%), 4차 산업혁명 인력수요에 맞게 재교육(12.7%) 순이었다.

최근 대기업 생산직 채용에 수만명의 청년지원자들이 몰린 이유도 높은 임금과 복리후생(71.7%), 대기업 소속직원이라는 평판(44.3%), 고용안정성(37.3%). 근무시간 등 우수한 근무환경(31.7%)을 꼽았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수출감소가 7개월째 이어지고 있고 글로벌 경기둔화, 대중교역 약화 등 수출조건이 개선여지가 보이지 않고 있어 청년고용시장은 한동안 얼어붙을 수 있다"라며 "청년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관건으로 적극적인 규제와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여력을 넓혀 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과로사 의혹' 런던베이글뮤지엄, 쪼개기 비판에…"근본부터 재점검"2025.11.17
롯데·HD현대케미칼, 석유화학 사업 재편안 이번 주 확정2025.11.17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 붕괴 위험에 완진까지 '최대 일주일'2025.11.16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로 전소…뉴발란스·스파오 배송 '올스톱'2025.11.16
삼성전자, 모바일 칩 구매비 사상 최대…엑시노스 부활이 해법2025.11.16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