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소재에 280억원 지원

임유진 / 기사승인 : 2023-04-20 17:07:35
  • -
  • +
  • 인쇄
동진쎄미켐 연구원이 반도체용 KrF PR(감광액) 제품을 확인하는 모습. (사진=동진쎄미켐)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에 필요한 정밀화학 핵심소재 개발 지원에 28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약 280억원 규모로 올해부터 2026년까지 지원하는 ‘국가 필수전략기술 고도화를 위한 고부가 정밀화학 소재 개발 사업’을 공고한다고 20일 밝혔다.

소재개발 사업은 280억원 규모로 2026년까지 극자외선(EUV) 포토레지스트용 고순도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PHS) 소재, 이차전지 분리막용 난연성 고분자 소재 제조기술 개발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3개 분야 5개 과제를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2022년 화학산업포럼 운영을 통해 기획됐다. 당시 10대 국가필수전략기술(현재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제품의 성능 고도화를 위해 정밀화학소재의 제조기술 내재화를 목표로 한다.

먼저 반도체 분야에서 ‘초고해상도 포토레지스트용 광산·광염기 발생제'와 '고순도 PHS(Poly-hydroxystyrene) 소재’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반도체 분야에서 수출규제 3대품목 중 불화수소, 불화 폴리이미드는 현재 일본 수입의존도가 많이 줄었지만 포토레지스트는 기술격차로 인해 수입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해당 소재의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전기차(EV),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으로 사용되는 중대형 전지의 경우 화재 및 폭발 등 안전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안정성 강화를 위해 ‘리튬이차전지 분리막용 난연성 첨가제’ 제조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국제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하여 리튬이차전지 양극 제조 공정에 사용 중인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에너지 저감 코팅 공정’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분야는 폴더블 폰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열전도성 고유연 접착소재’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한 휴대폰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시장은 박막, 소형화, 고성능화 기술 위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적층형 방열 시스템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 해당 분야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소재개발이 된다면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주름 현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고 마감일은 다음 달 22일이며 이번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들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알파경제 임유진 (qrqr@alphabiz.co.kr)

주요기사

“전국민이 거부한 카카오톡 업데이트” 불만 속출…주가도 급락2025.09.27
CJ그룹, 맞춤형 채용 콘텐츠 인기...누적조회수 1,400만회 기록2025.09.26
두산, 지주사 지위 벗었다…로보틱스·에너지 M&A 신호탄되나2025.09.26
GS건설, 교보문고와 함께 입주민 전용 ‘큐레이션 전자도서관' 선보여2025.09.26
소노인터내셔널, 5성급 프리미엄 리조트 ‘소노캄 경주’ 리뉴얼 오픈2025.09.26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