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로봇배송' 시대 열린다...1시간 이내 '퀵배송'도 가능

유정민 / 기사승인 : 2023-02-20 17:50:14
  • -
  • +
  • 인쇄
세종호수공원 드론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오는 2026년 로봇배송 시대가 활짝 열린다. 2027년에는 드론배송 상용화도 추진한다. 


새벽 배송을 넘어 '30분·1시간 배송 시대'를 열기 위해선 그간 금지됐던 도심 내 소형물류센터(MFC·Micro Fulfillment Center) 입점을 허용한다. MFC는 주문 수요를 예측하고 재고를 관리해 주문 즉시 배송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시설이다. .

20일 국토교통부는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물류창고 자동화·무인화가 진행 중이지만 노동집약적 산업이라는 과거 이미지가 여전하고, 국민들은 물류시설 설치와 화물차량 운행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우리 물류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려 신산업으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로봇배송은 2026년, 드론배송은 2027년 상용화가 목표다. 특히 로봇배송의 경우 현대와 손잡고 사업의 조기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물류 전용 테스트베드도 조성한다. 

우선 로봇배송이 상용화되려면 로봇이 택배를 짊어지고 세대 앞까지 무사히 도착해야한다. 국토부는 올해부터 아파트 단지 등 실제 배송지를 대상으로 실증사업을 시작해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거 단지에서 로봇배송을 테스트하려면 주민의 협조는 물론 시설물·통신 접근 권한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나서서 기업들의 실증을 돕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 단지의 경우 국토부와 업무협약을 맺어 통신제공 협조를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드론 배송 상용화를 위해선 '드론 특별자유화구역'을 현행 33곳에서 확대할 예정이다. 드론배송은 긴급 시 의약품 전달이나 격오지 배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는 △차세대 물류 서비스 조기 구현 △세계 최고 수준의 물류 네트워크 구축 △첨단 기술 기반 물류 안전망 구축 등 3대 전략을 제시하며 오는 6월까지 로봇배송과 관련된 물류, 플랫폼, IT 등 사업화 모델을 구축하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국토부는 이어 도시첨단물류단지 등 물류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도시 외곽이 아닌 도심에 조성하는 이유는 물류 시설이 외곽에 배치되면서 배송 차량 왕복 시간이 소요되는 비효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신도시를 개발할 때는 개발사업자가 사전에 생활물류시설 용지를 확보하도록 유도하고 부족한 물류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철도부지나 고속도로 등 유휴부지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국제 물류거점 조성을 위해서는 '국가 스마트 물류 플랫폼'을 도입한다. 통합계획을 통해 각종 물류·제조시설을 구축하고 물류진흥특구를 도입해 규제를 완화하는 제도다. 

또한 '화물차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위치정보를 토대로 속도, 운행거리를 분석해 화물차 운행 관련 안전망도 구축할 방침이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

주요기사

“전국민이 거부한 카카오톡 업데이트” 불만 속출…주가도 급락2025.09.27
CJ그룹, 맞춤형 채용 콘텐츠 인기...누적조회수 1,400만회 기록2025.09.26
두산, 지주사 지위 벗었다…로보틱스·에너지 M&A 신호탄되나2025.09.26
GS건설, 교보문고와 함께 입주민 전용 ‘큐레이션 전자도서관' 선보여2025.09.26
소노인터내셔널, 5성급 프리미엄 리조트 ‘소노캄 경주’ 리뉴얼 오픈2025.09.26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