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2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5개의 메이저 백신을 추가로 개발할 것이라고 28일 밝혔다.
안 사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과 바이오 분야에 향후 5년간 약 2조 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연구개발(R&D) 영역에서만 1조 2000억원을 투입한다.
백신과 바이오 분야에 투자하는 금액은 지난 5년간 투자금액의 약 5배에 달한다. 투자액의 구체적인 사용처로 해외사업 확대, 백신사업 강화, 신규 플랫폼 확보, 엔데믹 대응 포트폴리오 및 인프라 확장 등을 제시했다.
안재용 사장은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에도 주요 사업들이 차질 없이 목표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평가한다”며 “지금부터 5년이 SK바이오사이언스의 미래를 좌우할 적극적 투자의 시기임을 강조하며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토종 1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인 ‘스카이코비원’ 개발에 성공했다. 최근에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백신 인프라가 미흡한 해외 국가에 R&D 및 생산 기반을 구축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사업과 글로벌사의 신규 백신 제품을 위탁생산하는 C(D)MO 사업의 계약도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준비하고 있는 5개의 메이저 백신은 폐렴구균 백신 스카이팩(SKYPAC),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예방 백신 ‘HPV-10’,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범용 코로나 백신(Pan-sarbeco),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백신이다.
이중 스카이팩은 올해 임상 3상에 진입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HPV-10,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Pan-sarbeco는 2027년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RSV 백신은 2029년 출시를 목표로 삼았다.
안 사장은 자체 개발 백신 매출 확대에 대해 “지난해 440억원 수준의 자체 개발 백신 매출 규모를 내년 2200억원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현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지역 확장 및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도 확대한다.
안 사장은 “중장기 핵심 성장 전략인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프로젝트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백신 개발, 제조, 생산 역량을 해외 정부 및 파트너사에 이전해 각 지역의 요구사항에 맞는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 라틴아메리카 등의 국가에서 본격적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연내 2곳 이상의 지역에서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등 글로벌 기업들의 백신을 위탁생산하며 입증한 역량을 바탕으로 각종 감염병에 대한 C(D)MO 사업 확장에도 나선다고 말했다.
안 사장은 “글로벌 빅파마와의 사업 강화 및 신규 CDMO 영역 개척이라는 전략을 통해 새로운 팬데믹에 신속히 대응하고 백신의 균등 공급을 도모해 공중 보건 증진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라며 “현재 다수의 기업과 구체적 위탁생산 계약 조건을 확인 중이며 빠르면 상반기 내 글로벌 빅파마와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신규 CDMO 사업의 경우 미국 정부와 글로벌 기관 등에 생산된 제품을 공급하게 되면서 향후 선진 국가의 방역 정책과 연계된 사업 기회로까지 확대될 것이라 기대감을 표했다.
위탁개발생산(CDMO)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인천 송도에 ‘글로벌 R&PD 센터’를 구축하고 안동 L하우스를 증설한다는 계획이다.
![]() |
SK바이오사이언스 (사진 = SK바이오사이언스 홈페이지) |
SK바이오사이언스는 mRNA 등 신규 백신 플랫폼 확보를 위해 인수 합병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내외 몇몇 기업들과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3개 핵심 기술인 5 프라임 캡핑, 리피드나노파티클(LNP), 변형 뉴클레오시드(NTP)의 도입 및 공급 계약을 완료했다.
안 사장은 “이 밖에도 글로벌 기관 및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현재 개발 중인 mRNA 백신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기존 mRNA 백신의 한계로 지목되는 열안전성 및 높은 가격 문제 등을 개선한 백신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