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가계빚 1년 만에 줄었다 외 21일 주요뉴스 써머리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1 18:11:40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 가계빚 1년 만에 줄었다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82조 8천억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이었던 작년 4분기(12월 말, 1885조 4천억원)보다 2조 5000억원(0.1%) 줄었다.

◇ 5월 1∼20일 수출, 반도체 호조에 1% 상승

5월 1∼20일 수출액은 327억 49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17.7% 증가했다.

◇ 최상목 “美 대중관세에 통상 불확실성 점증”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180억달러 상당의 전략품목에 대해 관세인상을 발표하는 등 세계경제·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점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 금융위, 은행 LCR 규제 정상화 재개

금융당국이 오는 7월부터 은행권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비율을 97.5%로 상향한다. 다만 저축은행·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금융투자업계에 적용해 왔던 한시적 규제 완화 조치는 6개월 추가 연장한다.

◇ 해외직구 유해 의심제품, 각 부처가 직접 검사한다

앞으로 위험 우려가 있거나 소비가 급증하는 해외 직접구매 제품은 정부 각 소관 부처가 이를 직접 선별 구매해 안전성을 검사하는 방식으로 조사·관리 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다.

 

2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화면에 이날 거래를 마감한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코스피, 기관·외인 매도에 2720선까지 후퇴

기관과 외국인의 매도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17.96포인트(0.65%) 내린 2724.18로 하락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하락세로 출발해 낙폭을 키웠다.

◇ 코스피 상장사 1분기 영업익 84% 증가

코스피 상장 법인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726조 37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4.07%, 당기순이익은 91.78% 상승했다.

◇ 5월 소비심리 다섯달 만에 ‘비관적’

5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8.4로 전월보다 2.3포인트(p) 하락했다. CCSI는 지난 1∼4월 내내 100선을 웃돌다가 이달 들어 100 아래로 내렸다.

◇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 80% 넘어

지난달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 등 대형 5개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평균(5개사 단순 평균) 80.5%로, 작년 동월(76.1%) 대비 4%포인트(p) 넘게 올랐다.

◇ 지난달 주식 발행 63.1% 감소


지난달 주식 발행 금액은 7034억원으로 전달 대비 1조 2019억원(63.1%) 감소했다. 기업공개(IPO) 규모 증가에도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조달이 감소한 영향이다.

◇ 작년 숨은 보험금 4조2천억원 환급

금융위원회와 보험업계는 지난해 숨은 보험금 약 4조 2천억원을 환급했다. 보험업권별로는 생명보험회사가 3조 8460억원을, 손해보험회사가 3064억원을 환급했다.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사진=연합뉴스)

◇ 국토부, 준공 임박 아파트 특별점검

국토교통부가 향후 6개월 내 입주가 예정된 171개 단지 가운데 최근 부실시공 사례가 발생한 현장 등 총 23곳의 준공이 임박한 전국 아파트 건설 현장을 특별점검한다.

◇ 반도체 불황에 작년 대기업 수출 9.4%↓

지난해 수출기업 수는 9만 7231개로 전년보다 2.3% 증가했다. 기업 수는 늘었지만 수출액은 6308억달러로 집계돼 1년 전보다 7.5% 감소했다. 특히 대기업이 9.4% 줄었다.

◇ 해외직구 15년 사이 50배로 성장

전자상거래 물품 수입 통관 현황을 보면 2009년 251만건에서 지난해에는 1억 3144만 3천건으로 52배로 급증했다. 금액도 52억 7841만 8천 달러로 32배로 늘었다.

◇ 尹, 野강행 채상병특검법에 거부권

윤석열 대통령이 야당에서 단독으로 강행 처리한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2025.11.14
카카오 책임경영 담당 임원, 자녀 결혼식에 직원 동원해 논란2025.11.14
봉화·태백·석포 주민들, UN에 '진짜 목소리' 들어달라 서한... "환경 개선 체감, 생존권 위협"2025.11.14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앞세워 지스타 현장 장악2025.11.14
홈플러스, 하림과 공동기획 '마제소바 라면' 출시2025.11.1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