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최태원 회장 SK 지배력 떨어질 수도”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6 21:06:01
  • -
  • +
  • 인쇄
“최태원 회장 이혼 항소심 결과로 인한 SK그룹의 잠재적 위기”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이혼 항소심 판결이 SK그룹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이나 헤지펀드 위협을 현실화할 수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최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슐리 렌 블룸버그 오피니언 칼럼니스트는 "한국 최대 대기업 중 하나인 SK가 적대적 인수합병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렌 칼럼니스트는 "최태원 회장과 여동생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을 포함한 친족은 그룹 지주회사(SK㈜) 지분의 25% 정도만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태원 회장이 이혼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지분을 일부 양도하거나 매각해야 한다면 최태원 회장 일가의 지분율은 국내 지배력 기준인 20%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고법 가사2부는 지난달 30일 최 회장과 노소영 관장의 이혼 소송에서 "원고(최 회장)가 피고(노 관장)에게 위자료 20억원, 재산분할로 1조380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태원 회장의 현금성 자산은 2000억∼3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대부분의 자산은 그룹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SK㈜ 지분(지분율 17.73%)이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2심 판결 확정 시 지분 매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렌 칼럼니스트는 "적대적 인수합병이나 헤지펀드 행동주의 캠페인의 위협은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간 합병 과정을 문제 삼거나 현대차그룹을 상대로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하는 등 그간 국내 대기업들을 타깃으로 해 왔다.

렌 칼럼니스트는 "SK의 밸류에이션(평가 가치)은 여전히 낮다"며 "판결로 인한 강력한 랠리 이후에도 애널리스트들이 부여한 평균 가치보다 20% 이상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대기업 할인은 벤치마크인 코스피 지수가 사랑받지 못하는 이유"라며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알려진 코스피는 현재 닛케이225(2배), MSCI 차이나(1.3배)에 비해 장부가 이하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렌 칼럼니스트는 "한국은 적어도 10년 동안 강력한 가족 경영 대기업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해 왔지만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며 "이번 이혼 소송이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2025.11.14
카카오 책임경영 담당 임원, 자녀 결혼식에 직원 동원해 논란2025.11.14
봉화·태백·석포 주민들, UN에 '진짜 목소리' 들어달라 서한... "환경 개선 체감, 생존권 위협"2025.11.14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 앞세워 지스타 현장 장악2025.11.14
홈플러스, 하림과 공동기획 '마제소바 라면' 출시2025.11.1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