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금융당국이 정기검사 범위를 ‘본점’에서 ‘지점’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잇따라 은행권에 수백억원의 금융사고가 터지면서 내부통제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사각지대로 여겨지는 지점(영업점)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겠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정기검사에서 지점에 대한 검사까지 정례화하는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금감원은 매년 금융권을 대상으로 ‘정기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시중은행은 2년, 보험사는 3년, 종합금융투자사업자는 4년 등이다.
정기 검사는 본점을 중심으로 진행되지만, 잇따른 금융사고가 지점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 정기 검사를 지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국회 정무위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문제다발 지점도 정기검사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사고예방 차원에서 필요해 보인다"면서 "진작 이뤄졌어야 할 조치"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 2월 농협은행에서 벌어진 110억원대 배임 사고에 이어 6월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180억원 규모의 횡령사고 모두 지방 영업점에서 발생했다.
금융사고가 수차례 반복되는 지점 등도 정기 검사에 포함하자는 것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금융사고 방지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고려 중”이라며 “정기검사에 지점 검사를 정례화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