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출입 물가 5개월 만에 하락.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지난해 반도체 수출 회복에 힘입어 전산업생산이 전년 대비 상승했으나, 소비·건설 등 내수 부문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작년 전산업생산지수는 113.6(2020년=100)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반도체와 의약품 생산 증가에 힘입어 광공업 생산이 4.1% 늘며 산업 생산 개선을 주도했다. 제조업 생산은 4.4% 증가하며 상승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내수 시장은 전반적 침체를 보였다. 소매판매액은 2.2% 감소해 2003년 신용카드 대란 당시(-3.2%)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승용차 등 내구재(-3.1%),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4%), 의복 등 준내구재(-3.7%) 판매가 일제히 하락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운수·창고, 금융·보험 부문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1.4% 증가에 그쳐, 전년(3.2%)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둔화됐다. 이는 2020년(-2.0%) 이후 최저 증가율이다.
건설기성은 4.9% 감소해 2021년(-6.7%)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2.9%)와 기타운송장비(7.8%)의 증가에 힘입어 4.1% 상승했다.
작년 12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2.3% 증가하며 3개월 연속 하락세에서 벗어났다. 그러나 소매판매는 12·3비상계엄 사태의 영향으로 0.6% 감소하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