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전문은행.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인터넷은행 3사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1년 사이 11조원 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전월세대출 포함)은 34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23조4000억원) 대비 47%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의 주담대 증가율 10.4%와 비교하면 인터넷은행의 증가세가 4배 이상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해 5월 19조3000억원에서 올해 2월 30조5000억원으로 증가세를 이어왔다.
같은 기간 전체 은행권의 주담대 잔액은 655조4천억원에서 714조1천억원으로 8.9%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케이뱅크의 주담대 잔액이 4조1000억원에서 7조7000억원으로 87.8% 급증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카카오뱅크는 19조3000억원에서 24조9000억원으로 29% 증가했으며, 토스뱅크는 전월세보증금 대출 잔액이 1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러한 급증세의 배경으로 올해 시작된 주담대·전세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서비스에서 인터넷은행의 낮은 금리와 편의성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인터넷은행들이 본래 인가 취지인 중·저신용대출 공급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주담대 영업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인터넷은행들의 급격한 주택담보대출 증가는 포용적 금융을 목표로 한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급격한 대출 증가가 가계부채의 질을 악화시키고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어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