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9개월 만에 꺾였지만…상승 기대감은 여전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3 09:38:13
  • -
  • +
  • 인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9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16을 기록하며 9월보다 3포인트(p) 하락했다.

지난 1월(92) 이후 지속된 보합 및 상승세가 9개월 만에 꺾였다.

이 지수가 100을 상회하면 향후 1년간 주택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소비자가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많다는 의미다.

이는 지난 9월부터 시행된 2단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다만, 주택가격전망 CSI는 여전히 장기평균치인 107을 상회하는 수준을 유지했다.

황희진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가계대출 정책 시행과 계절적 요인으로 매매거래가 감소했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7로 전월(100.0) 대비 1.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물가상승세 둔화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1년 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8%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둔화됐음에도 배추 등 농산물 가격 상승 우려가 지속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은은 이달부터 중장기 기대인플레이션 지표를 함께 공개했다. 3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은 2.7%, 5년 후는 2.6%로 각각 집계됐다.

금리수준전망 CSI는 88로 전월 대비 5포인트 하락하며 2020년 7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신한·하나銀,, '9·7 대출규제' 반영 위해 비대면 주담대 중단2025.09.08
수도권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2억원으로 축소…LTV 40%로 강화2025.09.08
7월 아파트 매매 신고가 비중 20% 이상..'3년래 최고'2025.09.08
금융노조, 26일 총파업 강행..."주 4.5일제 지체 불가"2025.09.08
신한투자증권·신한은행, 패밀리오피스 전담 공동영업팀 출범2025.09.08
뉴스댓글 >